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46
어제:
1,101
전체:
763,649

한자 過猶不及

2014.02.25 20:43

셀라비 조회 수:1671

過猶不及

지날

오히려

아닐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음

孔子弟子중에는 綺羅星 같은 人物이 많다. 그의 弟子代表的哲人에 자장(子張)이 있다. [論語]에 의하면 그는 名譽慾이 좀 있었던 것 같다. 또 하나의 哲人중 자하(子夏)도 있다. 孔子는 그에게 小人儒가 되지 말고 君子儒

될 것을 强調했다. 小人儒知識追求하는데 급급한 學者를 지칭한다면君子儒는 진정 人格修養하는 學者를 말한다.

한번은 이 두 사람을 두고 弟子 자공(子貢)이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子張子夏 둘 중 누가 더 賢明하다고 보십니까?』

孔子卽席에서 했다. 子張하고 子夏不及이니라.

抽象的對答子貢은 더욱 궁금해졌다. 그래서 再次 물었다. 그렇다면 子張이 더 낫다는 말씀인지요?』

하지만 孔子對答은 이번에도 抽象的이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니라(過猶不及).

孔子에게는 子張이나 子夏 둘 다 눈에 차지 않았던 모양이다. 즉 그가 바라는 것은 지나치지도 않고, 그렇다고 不足하지도 않은 人格다시 말해 중용(中庸)境地였을 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4 鳳 凰 이규 2013.06.22 1647
183 侍 墓 이규 2013.06.21 1521
182 周 年 이규 2013.06.20 1434
181 行 脚 이규 2013.06.19 1589
180 迎 入 [1] 이규 2013.06.18 2228
179 誘 致 이규 2013.06.17 1613
178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44
177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07
176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683
175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19
174 國 家 이규 2013.06.10 1446
173 戰 國 이규 2013.06.09 1520
172 頭 角 이규 2013.06.07 1532
171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54
170 蜂 起 이규 2013.06.05 1605
169 出 馬 이규 2013.06.04 1561
168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690
167 正 鵠 이규 2013.06.02 1589
166 席 捲 이규 2013.05.31 1922
165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