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63
어제:
257
전체:
762,465

한자 過猶不及

2014.02.25 20:43

셀라비 조회 수:1608

過猶不及

지날

오히려

아닐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음

孔子弟子중에는 綺羅星 같은 人物이 많다. 그의 弟子代表的哲人에 자장(子張)이 있다. [論語]에 의하면 그는 名譽慾이 좀 있었던 것 같다. 또 하나의 哲人중 자하(子夏)도 있다. 孔子는 그에게 小人儒가 되지 말고 君子儒

될 것을 强調했다. 小人儒知識追求하는데 급급한 學者를 지칭한다면君子儒는 진정 人格修養하는 學者를 말한다.

한번은 이 두 사람을 두고 弟子 자공(子貢)이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子張子夏 둘 중 누가 더 賢明하다고 보십니까?』

孔子卽席에서 했다. 子張하고 子夏不及이니라.

抽象的對答子貢은 더욱 궁금해졌다. 그래서 再次 물었다. 그렇다면 子張이 더 낫다는 말씀인지요?』

하지만 孔子對答은 이번에도 抽象的이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니라(過猶不及).

孔子에게는 子張이나 子夏 둘 다 눈에 차지 않았던 모양이다. 즉 그가 바라는 것은 지나치지도 않고, 그렇다고 不足하지도 않은 人格다시 말해 중용(中庸)境地였을 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長蛇陣 이규 2013.02.03 1518
343 甘呑苦吐 셀라비 2014.11.26 1519
342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522
341 刑罰 이규 2013.02.01 1523
340 秋霜 이규 2013.02.04 1523
339 關 鍵 이규 2013.05.14 1524
338 城郭 이규 2012.11.06 1531
337 正 鵠 이규 2013.06.02 1534
336 管轄 이규 2012.12.20 1536
335 蜂 起 이규 2013.06.05 1539
334 雲 雨 셀라비 2013.11.02 1540
333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541
332 行 脚 이규 2013.06.19 1542
331 焦眉 이규 2012.12.05 1546
330 聖域 이규 2012.11.16 1555
329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555
328 世代 이규 2012.11.13 1556
327 淘 汰 이규 2013.05.28 1558
326 烏有先生 이규 2013.06.26 1558
325 官 吏 셀라비 2014.03.23 1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