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12
어제:
1,101
전체:
763,415

한자 過猶不及

2014.02.25 20:43

셀라비 조회 수:1638

過猶不及

지날

오히려

아닐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음

孔子弟子중에는 綺羅星 같은 人物이 많다. 그의 弟子代表的哲人에 자장(子張)이 있다. [論語]에 의하면 그는 名譽慾이 좀 있었던 것 같다. 또 하나의 哲人중 자하(子夏)도 있다. 孔子는 그에게 小人儒가 되지 말고 君子儒

될 것을 强調했다. 小人儒知識追求하는데 급급한 學者를 지칭한다면君子儒는 진정 人格修養하는 學者를 말한다.

한번은 이 두 사람을 두고 弟子 자공(子貢)이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子張子夏 둘 중 누가 더 賢明하다고 보십니까?』

孔子卽席에서 했다. 子張하고 子夏不及이니라.

抽象的對答子貢은 더욱 궁금해졌다. 그래서 再次 물었다. 그렇다면 子張이 더 낫다는 말씀인지요?』

하지만 孔子對答은 이번에도 抽象的이었다. 지나친 것은 미치지 못함과 같으니라(過猶不及).

孔子에게는 子張이나 子夏 둘 다 눈에 차지 않았던 모양이다. 즉 그가 바라는 것은 지나치지도 않고, 그렇다고 不足하지도 않은 人格다시 말해 중용(中庸)境地였을 뿐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41
103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47
102 發祥地 이규 2013.10.20 1948
101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49
100 改 閣 이규 2013.08.26 1956
99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56
98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64
97 問 鼎 이규 2013.11.23 1966
96 苦 杯 이규 2013.08.03 1966
95 人 倫 이규 2013.07.29 1968
94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68
93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69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82
91 사리 셀라비 2015.04.18 1985
90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86
89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86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95
8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03
86 千字文 이규 2013.10.12 2006
85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