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2
어제:
257
전체:
762,474

한자 家 臣

2014.02.24 21:06

셀라비 조회 수:1567

家 臣

신하

 

 

주인과 다함께 생활하며

충성을 다하는 참모

 

 

가신(家臣)이란 옛날 中國이 봉건제도(封建制度)實施할 때 대부(大夫)階層에서 거느리고 있던 部下들을 뜻한다. 一種參謀인 셈이다. 大夫는 제후(諸侯)로부터 土地를 받았다. 그러나 워낙 넓어 管理를 위해 많은 신속(臣屬)들을 두었는데 그들을 통틀어 家臣이라고 했다. 家臣主人에게 온갖 忠誠을 다 바쳤다. 물론 그에 따른 對價充分支拂되었다.

家臣制度盛行한 것은 춘추시대(春秋時代)였다. 家臣代表라면 단연 공자(孔子)를 꼽아야 할 것 같다. 그는 祖國 ()나라가 어지럽자 일찌감치 제()나라로 갔다. 그의 나이 35세때였다. 당시 大夫였던 고소자(高昭子)家臣이 되어 열심히 일한 結果 信任을 받게 돼 마침내 인 경공(景公)을 만날 수 있었다. 요컨대 그가 家臣이 되었던 것은 自身政治的 理想實現하기 위해서였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도 家臣을 둔 가 있다. 高麗때 임금보다 더 큰 權力을 휘둘렀던최충헌(崔忠獻)이 자기 집에서 국사(國事)處理하면서 임금의 臣下와는 別途로 사신(私臣)을 거느리고 있었다. 이때부터 家臣이라면 國家와는 關係없이 어떤 勢力가 밑에서 일하는 사람을 指稱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面 目 셀라비 2014.01.30 1658
223 斷 機 셀라비 2014.02.18 1647
222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645
221 關 係 LeeKyoo 2013.12.22 1645
220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644
219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642
218 自 治 이규 2013.09.18 1642
217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642
216 鷄 肋 이규 2014.05.15 1639
215 愚公移山 이규 2013.04.16 1637
214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637
213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635
212 讀 書 이규 2013.06.30 1633
211 君子三樂 이규 2013.04.23 1632
210 茶 禮 셀라비 2014.01.09 1630
209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629
208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628
207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626
206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625
205 鼻 祖 셀라비 2014.03.17 1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