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0
어제:
783
전체:
770,100

한자 家 臣

2014.02.24 21:06

셀라비 조회 수:1732

家 臣

신하

 

 

주인과 다함께 생활하며

충성을 다하는 참모

 

 

가신(家臣)이란 옛날 中國이 봉건제도(封建制度)實施할 때 대부(大夫)階層에서 거느리고 있던 部下들을 뜻한다. 一種參謀인 셈이다. 大夫는 제후(諸侯)로부터 土地를 받았다. 그러나 워낙 넓어 管理를 위해 많은 신속(臣屬)들을 두었는데 그들을 통틀어 家臣이라고 했다. 家臣主人에게 온갖 忠誠을 다 바쳤다. 물론 그에 따른 對價充分支拂되었다.

家臣制度盛行한 것은 춘추시대(春秋時代)였다. 家臣代表라면 단연 공자(孔子)를 꼽아야 할 것 같다. 그는 祖國 ()나라가 어지럽자 일찌감치 제()나라로 갔다. 그의 나이 35세때였다. 당시 大夫였던 고소자(高昭子)家臣이 되어 열심히 일한 結果 信任을 받게 돼 마침내 인 경공(景公)을 만날 수 있었다. 요컨대 그가 家臣이 되었던 것은 自身政治的 理想實現하기 위해서였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도 家臣을 둔 가 있다. 高麗때 임금보다 더 큰 權力을 휘둘렀던최충헌(崔忠獻)이 자기 집에서 국사(國事)處理하면서 임금의 臣下와는 別途로 사신(私臣)을 거느리고 있었다. 이때부터 家臣이라면 國家와는 關係없이 어떤 勢力가 밑에서 일하는 사람을 指稱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誘 致 이규 2013.06.17 1705
323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708
322 不惑 이규 2012.12.17 1708
321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708
320 膺懲 이규 2013.02.18 1709
319 家書萬金 셀라비 2014.11.17 1711
318 官 吏 셀라비 2014.03.23 1715
317 復舊 이규 2012.11.05 1717
316 師表 이규 2013.02.04 1717
315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718
314 雲 雨 셀라비 2013.11.02 1720
313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724
312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725
311 破廉恥 이규 2012.11.24 1730
310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731
309 文化 이규 2012.12.03 1732
» 家 臣 셀라비 2014.02.24 1732
307 凱 旋 yikyoo 2014.06.11 1737
306 公 約 셀라비 2014.05.27 1740
305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