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3
어제:
433
전체:
765,574

馬耳東風

2013.01.28 12:54

홍석균 조회 수:3134

馬(말 마)耳(귀 이)東(동녘 동)風(바람 풍)
말 귀에 동풍 곧, 봄바람이 스쳐간다는 뜻이다.
남의 말을 전혀 귀담아 듣지 않는 무신경을 꼬집는 말이다.


이백의 문인 친구 중에 왕십이란 자가 있었다.
그의 인적사항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
어느 날 왕십이는 이백한테 한야독작유회(寒夜獨酌有懷) 즉, 추운 밤 혼자 술잔을 기울이며 느낀 바 있어라는 제목의
시를 보내 왔다.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하소연하는 내용으로 다음과 같다.

푸른 산을 둘러싸고 뜬 구름이 하염없이 이어져 있고, 
그 하늘 가운데 외로운 달이 흐르고 있다.
외로운 달은 추위에 못 이겨 빛나고, 
은하수는 맑고 북두칠성은 흩어져 깔려 있는데, 
밤의 많은 별들이 밝게 빛난다.

이에 대해 이백은 답(答)왕십이한야독작유회 즉 왕십이의 한야독작유회에 답하여 라는 시를 적어 보냈다.
문(文)이 무(武)보다 홀대받고 건전한 기풍이 점점 타락해져 가는 당시의 당나라 사회 풍조에 깊이 실망하고 우려하던
이백은 장시인 이 작품에서 시인이 아무리 좋은 시를 짓더라도 세상 속물들은 알아 주지 않는다고 개탄한 다음 이렇게
노래하고 있다.

세상 사람들 이 말 듣고 머리 흔드네 (세인문차개도두 世人聞此皆悼頭)
마치 동풍에 쏘인 말의 귀처럼(유여동풍사마이 有如東風射馬耳)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2022
2666 불가능한 것에 도전하는 즐거움 이규 2013.01.24 3317
2665 斗酒不辭 [1] 홍석균 2013.01.24 3198
2664 지옥으로 향하는 가장 안전한 길 이규 2013.01.25 3212
2663 得隴望蜀 홍석균 2013.01.25 3211
2662 登龍門 홍석균 2013.01.26 3244
2661 磨斧作針 [1] 홍석균 2013.01.27 3569
2660 인류가 진보를 계속해온 까닭 이규 2013.01.28 3301
» 馬耳東風 홍석균 2013.01.28 3134
2658 낙관론자와 비관론자의 차이 이규 2013.01.29 3237
2657 萬死一生 [1] 홍석균 2013.01.29 3308
2656 일이 많고 힘들다고 죽는 사람은 없다. [2] 이규 2013.01.30 3283
2655 萬事休矣 홍석균 2013.01.30 3261
2654 성공은 감사의 표현 횟수와 비례한다. 이규 2013.01.31 3314
2653 萬全之策 홍석균 2013.01.31 3394
2652 시련 이규 2013.02.01 3240
2651 亡國之音 [1] 홍석균 2013.02.01 3236
2650 望洋之歎 [3] 홍석균 2013.02.02 3532
2649 芒刺在背 홍석균 2013.02.03 3340
2648 진주가 아름다운 이유 이규 2013.02.04 3181
2647 買牘而還珠 홍석균 2013.02.04 3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