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53
어제:
284
전체:
767,371

한자 斷 機

2014.02.18 20:25

셀라비 조회 수:1763

斷 機

끊을

기계

 

 

짜던 베를 잘라 자식 훈계한 孟母

교육열

 

 

단기(斷機)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자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東洋 敎育熱이 높기로 有名하다. 자연히 女子들의 치맛바람도 極盛스럽기그지 없는데, 元祖는 단연 孟子의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자식을 工夫시키기 위해 세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孟母三遷)古事有名하다. 그것은 孟子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子息을 어느 정도 키운 孟子 어머니는 이제 學群을 옮기는 것으로는 滿足할 수 없었던지 客地遊學을 보냈다. 물론 遊學費用을 대기 위해 자신은 베를 짰다.

그런데 遊學 보낸지 얼마 안된 어느날 孟子가 불쑥 돌아왔다. 다 배웠다는 것이었다. 孟子 어머니는 기가 막혔다. 녀석이 아직도 철이 들지 않았구나!』그녀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잘랐다. 그리고는 놀라는 孟子에게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란다. 도중에 그만두면 無用之物이 되고 마는 법이다. 크게 각성(覺醒)孟子는 그 길로 다시 나가 孔子孫子인 자사(子思)를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工夫結果 마침내 성인(聖人)이 될 수 있었다.

우리의 한석봉(韓石峰)이야기와 흡사(恰似)하다. 치맛바람도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625
143 伯樂一顧 이규 2013.04.07 1625
142 墨翟之守 셀라비 2014.10.25 1623
141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619
140 秋霜 이규 2013.02.04 1618
139 出 馬 이규 2013.06.04 1617
138 長蛇陣 이규 2013.02.03 1617
137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613
136 刑罰 이규 2013.02.01 1613
135 杞 憂 셀라비 2014.06.05 1611
134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610
133 盲人摸象 이규 2013.02.25 1606
132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606
131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603
130 關 鍵 이규 2013.05.14 1603
129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603
128 慢慢的 이규 2012.11.15 1603
127 瓦斯 이규 2013.02.12 1601
126 籌備 이규 2012.12.28 1591
125 前 轍 이규 2013.06.24 1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