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5
어제:
1,186
전체:
764,434

한자 斷 機

2014.02.18 20:25

셀라비 조회 수:1709

斷 機

끊을

기계

 

 

짜던 베를 잘라 자식 훈계한 孟母

교육열

 

 

단기(斷機)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자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東洋 敎育熱이 높기로 有名하다. 자연히 女子들의 치맛바람도 極盛스럽기그지 없는데, 元祖는 단연 孟子의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자식을 工夫시키기 위해 세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孟母三遷)古事有名하다. 그것은 孟子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子息을 어느 정도 키운 孟子 어머니는 이제 學群을 옮기는 것으로는 滿足할 수 없었던지 客地遊學을 보냈다. 물론 遊學費用을 대기 위해 자신은 베를 짰다.

그런데 遊學 보낸지 얼마 안된 어느날 孟子가 불쑥 돌아왔다. 다 배웠다는 것이었다. 孟子 어머니는 기가 막혔다. 녀석이 아직도 철이 들지 않았구나!』그녀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잘랐다. 그리고는 놀라는 孟子에게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란다. 도중에 그만두면 無用之物이 되고 마는 법이다. 크게 각성(覺醒)孟子는 그 길로 다시 나가 孔子孫子인 자사(子思)를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工夫結果 마침내 성인(聖人)이 될 수 있었다.

우리의 한석봉(韓石峰)이야기와 흡사(恰似)하다. 치맛바람도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妄 言 이규 2013.09.20 1853
323 破 格 이규 2013.10.07 1847
322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46
321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45
320 問 津 이규 2013.10.25 1843
319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40
318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40
317 會 計 이규 2013.08.05 1840
316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39
315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38
314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37
313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837
312 動 亂 이규 2013.09.16 1837
311 黃 砂 이규 2013.07.18 1837
310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836
309 寒心 이규 2012.11.10 1835
308 獨 對 이규 2013.12.08 1834
307 刎頸之交 이규 2013.04.19 1834
306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833
305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