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48
어제:
783
전체:
770,108

한자 斷 機

2014.02.18 20:25

셀라비 조회 수:1822

斷 機

끊을

기계

 

 

짜던 베를 잘라 자식 훈계한 孟母

교육열

 

 

단기(斷機)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자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東洋 敎育熱이 높기로 有名하다. 자연히 女子들의 치맛바람도 極盛스럽기그지 없는데, 元祖는 단연 孟子의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자식을 工夫시키기 위해 세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孟母三遷)古事有名하다. 그것은 孟子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子息을 어느 정도 키운 孟子 어머니는 이제 學群을 옮기는 것으로는 滿足할 수 없었던지 客地遊學을 보냈다. 물론 遊學費用을 대기 위해 자신은 베를 짰다.

그런데 遊學 보낸지 얼마 안된 어느날 孟子가 불쑥 돌아왔다. 다 배웠다는 것이었다. 孟子 어머니는 기가 막혔다. 녀석이 아직도 철이 들지 않았구나!』그녀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잘랐다. 그리고는 놀라는 孟子에게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란다. 도중에 그만두면 無用之物이 되고 마는 법이다. 크게 각성(覺醒)孟子는 그 길로 다시 나가 孔子孫子인 자사(子思)를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工夫結果 마침내 성인(聖人)이 될 수 있었다.

우리의 한석봉(韓石峰)이야기와 흡사(恰似)하다. 치맛바람도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2106
383 快 擧 이규 2013.07.21 2105
382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104
381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99
380 發祥地 이규 2013.10.20 2092
379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2089
378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2086
377 賞 春 이규 2013.08.15 2080
376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080
375 執牛耳 이규 2013.11.15 2074
374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2071
373 誣 告 이규 2013.07.24 2067
372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2066
371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64
370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2056
369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2056
368 至孝 이규 2012.10.29 2056
367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2054
366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2054
365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2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