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92
어제:
257
전체:
762,394

한자 斷 機

2014.02.18 20:25

셀라비 조회 수:1620

斷 機

끊을

기계

 

 

짜던 베를 잘라 자식 훈계한 孟母

교육열

 

 

단기(斷機)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자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東洋 敎育熱이 높기로 有名하다. 자연히 女子들의 치맛바람도 極盛스럽기그지 없는데, 元祖는 단연 孟子의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자식을 工夫시키기 위해 세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孟母三遷)古事有名하다. 그것은 孟子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子息을 어느 정도 키운 孟子 어머니는 이제 學群을 옮기는 것으로는 滿足할 수 없었던지 客地遊學을 보냈다. 물론 遊學費用을 대기 위해 자신은 베를 짰다.

그런데 遊學 보낸지 얼마 안된 어느날 孟子가 불쑥 돌아왔다. 다 배웠다는 것이었다. 孟子 어머니는 기가 막혔다. 녀석이 아직도 철이 들지 않았구나!』그녀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잘랐다. 그리고는 놀라는 孟子에게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란다. 도중에 그만두면 無用之物이 되고 마는 법이다. 크게 각성(覺醒)孟子는 그 길로 다시 나가 孔子孫子인 자사(子思)를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工夫結果 마침내 성인(聖人)이 될 수 있었다.

우리의 한석봉(韓石峰)이야기와 흡사(恰似)하다. 치맛바람도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454
103 侍 墓 이규 2013.06.21 1453
102 討 伐 이규 2013.03.17 1452
101 民心 이규 2012.12.09 1450
100 颱 風 이규 2013.07.12 1449
99 景福 셀라비 2012.10.31 1443
98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442
97 跛行 이규 2013.03.18 1441
96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36
95 道不拾遺 이규 2013.02.27 1436
94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435
93 妥結 이규 2012.12.02 1433
92 封套 이규 2012.11.19 1433
91 兩立 이규 2012.12.13 1431
90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427
89 割據 셀라비 2012.11.09 1425
88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23
87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17
86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14
85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