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44
어제:
257
전체:
762,346

한자 斷 機

2014.02.18 20:25

셀라비 조회 수:1615

斷 機

끊을

기계

 

 

짜던 베를 잘라 자식 훈계한 孟母

교육열

 

 

단기(斷機)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자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東洋 敎育熱이 높기로 有名하다. 자연히 女子들의 치맛바람도 極盛스럽기그지 없는데, 元祖는 단연 孟子의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자식을 工夫시키기 위해 세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孟母三遷)古事有名하다. 그것은 孟子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子息을 어느 정도 키운 孟子 어머니는 이제 學群을 옮기는 것으로는 滿足할 수 없었던지 客地遊學을 보냈다. 물론 遊學費用을 대기 위해 자신은 베를 짰다.

그런데 遊學 보낸지 얼마 안된 어느날 孟子가 불쑥 돌아왔다. 다 배웠다는 것이었다. 孟子 어머니는 기가 막혔다. 녀석이 아직도 철이 들지 않았구나!』그녀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잘랐다. 그리고는 놀라는 孟子에게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란다. 도중에 그만두면 無用之物이 되고 마는 법이다. 크게 각성(覺醒)孟子는 그 길로 다시 나가 孔子孫子인 자사(子思)를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工夫結果 마침내 성인(聖人)이 될 수 있었다.

우리의 한석봉(韓石峰)이야기와 흡사(恰似)하다. 치맛바람도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完璧 셀라비 2014.03.12 1742
303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741
302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740
301 釋迦牟尼 이규 2013.06.27 1739
300 黃 砂 이규 2013.07.18 1738
299 坐 礁 이규 2013.07.09 1733
298 連理枝 LeeKyoo 2014.01.06 1732
297 天安門 이규 2013.09.22 1730
296 火 箭 이규 2013.08.20 1729
295 角 逐 셀라비 2013.11.14 1727
294 貢 獻 이규 2013.11.16 1725
293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722
292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721
291 咫 尺 LeeKyoo 2013.12.15 1721
290 梅 雨 이규 2013.07.11 1718
289 一諾千金 이규 2013.04.27 1718
288 牛刀割鷄 셀라비 2014.09.21 1717
287 富 貴 셀라비 2014.06.16 1712
286 千里眼 셀라비 2014.01.20 1712
285 從容有常 셀라비 2014.01.17 1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