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29
어제:
324
전체:
768,253

한자 斷 機

2014.02.18 20:25

셀라비 조회 수:1782

斷 機

끊을

기계

 

 

짜던 베를 잘라 자식 훈계한 孟母

교육열

 

 

단기(斷機)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자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東洋 敎育熱이 높기로 有名하다. 자연히 女子들의 치맛바람도 極盛스럽기그지 없는데, 元祖는 단연 孟子의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자식을 工夫시키기 위해 세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孟母三遷)古事有名하다. 그것은 孟子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子息을 어느 정도 키운 孟子 어머니는 이제 學群을 옮기는 것으로는 滿足할 수 없었던지 客地遊學을 보냈다. 물론 遊學費用을 대기 위해 자신은 베를 짰다.

그런데 遊學 보낸지 얼마 안된 어느날 孟子가 불쑥 돌아왔다. 다 배웠다는 것이었다. 孟子 어머니는 기가 막혔다. 녀석이 아직도 철이 들지 않았구나!』그녀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잘랐다. 그리고는 놀라는 孟子에게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란다. 도중에 그만두면 無用之物이 되고 마는 법이다. 크게 각성(覺醒)孟子는 그 길로 다시 나가 孔子孫子인 자사(子思)를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工夫結果 마침내 성인(聖人)이 될 수 있었다.

우리의 한석봉(韓石峰)이야기와 흡사(恰似)하다. 치맛바람도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憲法 이규 2012.12.29 1205
463 崩壞 이규 2013.01.13 1205
462 電擊 이규 2012.12.13 1209
461 吳越同舟 이규 2013.01.19 1216
460 變姓名 이규 2013.01.22 1222
459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225
458 葡萄 이규 2013.01.09 1226
457 覇權 이규 2012.12.08 1237
45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54
455 汚染 이규 2013.01.24 1271
454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279
453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86
45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315
451 露 骨 이규 2013.05.29 1319
450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27
449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34
448 犧牲 이규 2012.12.18 1345
447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357
446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75
445 飜覆 이규 2013.01.29 13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