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91
어제:
284
전체:
767,309

한자 斷 機

2014.02.18 20:25

셀라비 조회 수:1762

斷 機

끊을

기계

 

 

짜던 베를 잘라 자식 훈계한 孟母

교육열

 

 

단기(斷機)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자른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東洋 敎育熱이 높기로 有名하다. 자연히 女子들의 치맛바람도 極盛스럽기그지 없는데, 元祖는 단연 孟子의 어머니를 꼽을 수 있다. 자식을 工夫시키기 위해 세번이나 이사를 했다는 맹모삼천(孟母三遷)古事有名하다. 그것은 孟子가 어렸을 때의 일이다. 子息을 어느 정도 키운 孟子 어머니는 이제 學群을 옮기는 것으로는 滿足할 수 없었던지 客地遊學을 보냈다. 물론 遊學費用을 대기 위해 자신은 베를 짰다.

그런데 遊學 보낸지 얼마 안된 어느날 孟子가 불쑥 돌아왔다. 다 배웠다는 것이었다. 孟子 어머니는 기가 막혔다. 녀석이 아직도 철이 들지 않았구나!』그녀는 짜던 베를 가위로 싹독 잘랐다. 그리고는 놀라는 孟子에게 말했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란다. 도중에 그만두면 無用之物이 되고 마는 법이다. 크게 각성(覺醒)孟子는 그 길로 다시 나가 孔子孫子인 자사(子思)를스승으로 모시고 열심히 工夫結果 마침내 성인(聖人)이 될 수 있었다.

우리의 한석봉(韓石峰)이야기와 흡사(恰似)하다. 치맛바람도 이 정도는 돼야 하지 않을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跛行 이규 2013.03.18 1554
383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554
382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554
381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57
380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57
37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557
378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62
377 戰 國 이규 2013.06.09 1562
376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63
375 人質 이규 2012.12.27 1564
374 討 伐 이규 2013.03.17 1565
373 簞食瓢飮 이규 2013.04.17 1565
37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71
371 名分 이규 2013.02.11 1575
370 侍 墓 이규 2013.06.21 1575
369 亢龍有悔 이규 2013.04.22 1576
368 西 方 이규 2013.05.23 1576
367 傾 聽 이규 2013.07.03 1576
366 頭 角 이규 2013.06.07 1578
365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