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30
어제:
1,186
전체:
764,819

赦免

2013.01.27 17:55

이규 조회 수:1355

 

赦免 죄사할 사
赦免 면할 면


赦免-지은 죄를 용서해 줌

 

  赦는 赤과 攵(복) 의 結合이다.  赤은 ‘붉다’는 뜻외에 ‘텅비다’는 뜻도 가지고 있다. 

赤裸裸(적나라), 赤手空拳이란 말이 있다. 

그리고 攵은 손에 돌이나 나무막대를 쥐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글자로 ‘두드리다’의 뜻이 있다. 

곧 赦는 ‘손이나 道具를 使用해 텅비게 하는 것’으로 罪囚를 結縛한 칼이나 족쇄(足鎖) 또는 捕繩을 푸는 것을 意味한다. 

따라서 赦의 의미는 ‘罪를 풀어주다’, ‘용서하다’는 뜻을 갖게 된다.  赦罪, 特赦가 있다.
  免은 재미있는 글자다.  兎(토끼 토)와 비슷하나 、 이 하나 없다.  곧 토끼의 꼬리가 보이지 않는데, 덫에 걸린 토끼가 逃亡쳤다는 뜻이다.  토끼로 보아서는 死地의 危險에서 벗어난 것이 되므로 ‘면하다’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免稅, 免疫, 免除, 免罪, 免許, 減免, 罷免 등이 있다.
  따라서 赦免은 罪囚의 罪를 容恕하여 여러가지 不利益으로부터 면하게 해주는 것으로 최고 統治權者인 大統領의 固有 權限에 속한다.
  赦免은 三國時代부터 있었다. 

赦罪, 赦放이라고 했는데 君主의 德을 强調한다는 뜻에서 恩赦라고도 했었다. 

大體로 國家的인 慶事나 天災地變때 單行됐는데 이를 통해 王의 德을 滿天下에 알리는 效果를 期待했다.
  그러나 어떤 境遇든, 또 目的이 어디에 있든 國家는 赦免을 통해 百姓을 끌어 안음으로써 大和合을 追求할 수 있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492
83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88
82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486
81 國 家 이규 2013.06.10 1483
80 割據 셀라비 2012.11.09 1482
79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477
78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476
77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76
76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69
75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62
74 周 年 이규 2013.06.20 1459
73 告由文 이규 2013.07.08 1458
72 文 字 이규 2013.07.06 1455
71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53
70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450
69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447
68 白 眉 셀라비 2014.09.26 1446
67 古 稀 셀라비 2014.09.22 1442
66 洪水 이규 2013.02.02 1437
65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