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00
어제:
321
전체:
765,922

磨斧作針

2013.01.27 13:06

홍석균 조회 수:3573

磨(갈 마)斧(도끼 부)作(만들 작)針(바늘 침)
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는 뜻이니,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일이라도 끈기 있게 매달리면 마침내 달성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백은 시선이라고까지 추앙받는 당나라 때의 대표적 시인이며, 자는 태백이다.
그는 다섯 살 때 아버지를 따라 촉 땅에 가서 어린 시절을 보냈는데, 열 살에 시와 글씨에는 어른을 능가할 정도의 특출한
재능을 보였지만, 정작 공부는 재능에 어울릴 정도의 열성이 없었다.
아버지는 그에게 훌륭한 스승을 붙여 주어 상의산에 들어가 학문에 정진하게 했지만, 그는 따분한 산 생활과 끝도 없는
글 읽기가 진력이 나서 견딜 수 없었다.
"이미 다 아는 글을 더 이상 읽어서 뭘 해"
이렇게 생각한 이백은 스승 몰래 산을 내려가기로 결심했다.
아버지한테 야단을 맞고 말고는 다음의 문제였다.
그래서 집을 향해 한참 가는데 어느 냇가에 이르러 보니 한 노파가 물가에 앉아 바윗돌에다 도끼를 갈고 있었다.
이백은 호기심이 생겨 물어 보았다.
"할머니, 지금 뭘 하고 계세요?"
"바늘을 만들고 있단다."
"아니, 그 도끼로 바늘을 만들어요?"
"그래, 돌에다 갈고 또 갈아 가늘게 만들면 바늘이 되지 않겠니"
그 말을 듣고 이백은 깔깔 웃었다.
"참 할머니도, 그 도끼를 도대체 언제까지 갈아야 바늘처럼 가늘게 만들 수 있다는 거예요?"
"웃긴 왜 웃느냐.
열심히 갈다 보면 도낀들 바늘로 만들지 못할 리가 어디 있어.
도중에  그만두지만 않는다면 말이다."
순간, 이백은 뒤통수를 세게 얻어맞은 느낌이 들었다.
"그렇다.
노력해서 안 될 일이 어디 있는가.
처음부터 시도하지 않는 것이 문제일 뿐이고, 더욱 나쁜 것은 하다가 끝장을 보지도 않고 그만두는 짓이다."
이렇게 깨달은 이백은 집으로 가려던 마음을 돌이켜 산으로 도로 올라갔다.
그리고  그 후 마음이 해이해질 때마다 노파를 떠올리며 분발하곤 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2190
2547 작은 아이디어의 힘 LeeKyoo 2023.05.18 1450
2546 학교와 회사의 공통점과 차이 LeeKyoo 2023.09.14 1450
2545 행동 LeeKyoo 2024.02.27 1450
2544 비울 때 비로소 채울 수 있다 LeeKyoo 2023.08.10 1452
2543 경쟁자 보다 더 빨리 실수하기 LeeKyoo 2022.10.13 1454
2542 변화(Change)는 기회(Chance)다 LeeKyoo 2023.02.22 1455
2541 목표와 방향의 힘은 얕볼 수 없다 LeeKyoo 2023.05.08 1455
2540 자신감이 낮은 사람이 진정한 대가가 된다 LeeKyoo 2023.09.18 1457
2539 감옥과 수도원의 유일한 차이점 LeeKyoo 2023.02.26 1459
2538 일정한 자극은 발전을 가져온다 LeeKyoo 2023.05.02 1459
2537 딱지가 벗겨져야 새 살이 돋는다 LeeKyoo 2023.05.19 1459
2536 반대에 부딪힐 때, 성장할 기회가 찾아온다 LeeKyoo 2023.04.05 1460
2535 내가 여러 가지 책을 읽는 이유 LeeKyoo 2023.05.11 1460
2534 행복해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기 때문에 행복해진다 LeeKyoo 2023.08.08 1461
2533 성공하는 DNA, 실패하는 DNA LeeKyoo 2022.10.04 1462
2532 널리 쓰이는 전략은 전략이 아니다 LeeKyoo 2023.03.21 1462
2531 모른다는 사실을 부끄러워하지 말라 LeeKyoo 2023.09.27 1462
2530 그냥 계속했을 뿐입니다 LeeKyoo 2023.04.13 1463
2529 고난은 신이 준 최고의 선물이었다 LeeKyoo 2023.04.19 1464
2528 소수의 일에 집중하라 LeeKyoo 2023.02.28 1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