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51
어제:
305
전체:
766,484

香肉

2013.01.25 22:48

이규 조회 수:1117

 

香향기 향
肉고기 육


香肉-‘개고기’를 뜻함

 

  中國 사람들은 개고기를 香肉이라 부른다.  물론 狗肉이라고도 한다.  개고기에서 香氣를 느낄 정도니 그들이 얼마나 개고기를 즐겨 먹었는지 알만하다.  우리도 개고기를 즐기지만 사실 개고기의 元祖는 中國이다.
  개고기는 周나라 때부터 王室 八珍味의 하나로 꼽혀, 皇帝가 햇穀食을 試食할 때 빠져서는 안될 料理였다.  이 때문에 宮中에 ‘犬人’이라는 專門 料理師까지 두었다.  專門 料理서 [三六經]은 3과 6의 合인 9가 ‘狗’와 발음이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獨逸 帝國의 카이저 빌헬름2세가 民國 초의 大總統 袁世凱에게 사냥개 한마리를 膳物했는데 후에 袁世凱로 부터 “잘먹었다”라는 電文을 받은 것은 有名한 逸話이다.
  그들이 개고기를 重視한 것은 補身 觀念 때문이다.  明나라 末期 李時珍의 [本草綱木]에는 黃狗의 補身 效果가 뛰어나다고 記錄돼 있다.  그래서 그들은 개도 等級을 매겨 一黃, 二黑, 三花, 四白으로 나눈다.  즉 첫째가 누렁이, 둘째가 검둥이, 세째가 바둑이, 네째가 흰둥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無條件 먹어서는 效果가 없다.  그들에 따르면 갓난 개는 精力에, 어린 개는 補血에, 늙은개는 神經痛에 각각 좋다고 한다.  이쯤되니 우리보다 한 수 위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도 예부터 개고기를 즐겨 먹었다.  특히 伏날에 많이 먹었는데 땀을 너무 많이 흘려 氣力이 약해졌으므로 元氣를 보충하기 위해서 였다.  더운 여름은 개 수난 시대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妥結 이규 2012.12.02 1511
83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09
82 水魚之交 이규 2013.04.25 1505
81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496
80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96
79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495
78 國 家 이규 2013.06.10 1494
77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89
76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488
75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83
74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480
73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472
7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72
71 白 眉 셀라비 2014.09.26 1470
70 告由文 이규 2013.07.08 1470
69 周 年 이규 2013.06.20 1467
68 文 字 이규 2013.07.06 1466
67 賂物 이규 2012.12.11 1460
66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456
65 古 稀 셀라비 2014.09.22 14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