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96
어제:
321
전체:
765,918

納凉

2013.01.23 20:48

이규 조회 수:1147

 

納들일 납
凉서늘할 량


納凉 그늘을 찾아 더위를 식힘


  納은 ‘실의 안’이란 뜻으로 베를 짤 때 上下로 쳐진 날줄(經) 안으로 씨줄(緯)을 넣는 것을 意味한다.  날줄로 볼 때 씨줄이 ‘들이는’ 것이 돼 納은 ‘들이다’가 된다.  納得, 納品, 未納, 獻納 등 많다.
  凉은 水와 京의 結合인데 京이 高와 같이 옛날 都邑地에 있던 望樓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이 있다.  그러니까 凉은 ‘시원한 물가와 높은 곳’이 돼 ‘서늘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凉天, 凉風, 凄凉, 淸凉飮料, 荒凉이 있다.  따라서 納凉은 ‘시원함을 들인다’가 돼 여름에 시원한 곳에서 서늘함을 맛보는 것을 뜻한다.  消極的인 避署法이라고나 할까.
  中國 南朝 陳의 詩人 徐陵은 ‘내원축량(內園逐凉)’이라는 詩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納凉高樹下(납량고수하) - 커다란 나무 그늘 아래서 납량을 하니
     直坐落花中(직좌낙화중) - 머리위엔 꽃잎이 떨어지네
  본디 納凉이란 나무 그늘 아래서 더위를 식히는 것이었다.  우리 祖上들의 納凉도 부채를 부친다거나 동네 느티나무 그늘을 찾아 더위를 식혔으며, 밤이면 竹夫人을 껴안고 자기도 했다.  그래도 더우면 溪谷에 발을 담그는 것(濯足․탁족)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納凉으로 不足해 避署를 간다.  예나 지금이나 더위는 같을지언대 解消하는 方法은 많이 달라진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한자여행 이규 2012.10.28 5280
483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91
482 至孝 이규 2012.10.29 2003
481 審判 이규 2012.10.30 1939
480 景福 셀라비 2012.10.31 1527
479 省墓 이규 2012.11.01 1531
478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47
477 光化門 이규 2012.11.03 1739
476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544
475 復舊 이규 2012.11.05 1669
474 城郭 이규 2012.11.06 1617
473 國會 이규 2012.11.07 1956
472 閏月 이규 2012.11.08 2984
471 割據 셀라비 2012.11.09 1510
470 寒心 이규 2012.11.10 1877
469 阿修羅場 셀라비 2012.11.11 1738
468 有備無患 이규 2012.11.12 1587
467 世代 이규 2012.11.13 1622
466 慢慢的 이규 2012.11.15 1580
465 聖域 이규 2012.11.16 1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