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09
어제:
315
전체:
766,757

納凉

2013.01.23 20:48

이규 조회 수:1156

 

納들일 납
凉서늘할 량


納凉 그늘을 찾아 더위를 식힘


  納은 ‘실의 안’이란 뜻으로 베를 짤 때 上下로 쳐진 날줄(經) 안으로 씨줄(緯)을 넣는 것을 意味한다.  날줄로 볼 때 씨줄이 ‘들이는’ 것이 돼 納은 ‘들이다’가 된다.  納得, 納品, 未納, 獻納 등 많다.
  凉은 水와 京의 結合인데 京이 高와 같이 옛날 都邑地에 있던 望樓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이 있다.  그러니까 凉은 ‘시원한 물가와 높은 곳’이 돼 ‘서늘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凉天, 凉風, 凄凉, 淸凉飮料, 荒凉이 있다.  따라서 納凉은 ‘시원함을 들인다’가 돼 여름에 시원한 곳에서 서늘함을 맛보는 것을 뜻한다.  消極的인 避署法이라고나 할까.
  中國 南朝 陳의 詩人 徐陵은 ‘내원축량(內園逐凉)’이라는 詩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納凉高樹下(납량고수하) - 커다란 나무 그늘 아래서 납량을 하니
     直坐落花中(직좌낙화중) - 머리위엔 꽃잎이 떨어지네
  본디 納凉이란 나무 그늘 아래서 더위를 식히는 것이었다.  우리 祖上들의 納凉도 부채를 부친다거나 동네 느티나무 그늘을 찾아 더위를 식혔으며, 밤이면 竹夫人을 껴안고 자기도 했다.  그래도 더우면 溪谷에 발을 담그는 것(濯足․탁족)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納凉으로 不足해 避署를 간다.  예나 지금이나 더위는 같을지언대 解消하는 方法은 많이 달라진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54
323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81
322 淘 汰 이규 2013.05.28 1638
321 露 骨 이규 2013.05.29 1305
320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60
319 席 捲 이규 2013.05.31 1969
318 正 鵠 이규 2013.06.02 1636
317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730
316 出 馬 이규 2013.06.04 1605
315 蜂 起 이규 2013.06.05 1641
314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011
313 頭 角 이규 2013.06.07 1573
312 戰 國 이규 2013.06.09 1557
311 國 家 이규 2013.06.10 1496
310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49
309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728
308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46
307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83
306 誘 致 이규 2013.06.17 1656
305 迎 入 [1] 이규 2013.06.18 2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