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85
어제:
1,179
전체:
765,253

納凉

2013.01.23 20:48

이규 조회 수:1136

 

納들일 납
凉서늘할 량


納凉 그늘을 찾아 더위를 식힘


  納은 ‘실의 안’이란 뜻으로 베를 짤 때 上下로 쳐진 날줄(經) 안으로 씨줄(緯)을 넣는 것을 意味한다.  날줄로 볼 때 씨줄이 ‘들이는’ 것이 돼 納은 ‘들이다’가 된다.  納得, 納品, 未納, 獻納 등 많다.
  凉은 水와 京의 結合인데 京이 高와 같이 옛날 都邑地에 있던 望樓에서 나온 글자로 ‘높다’는 뜻이 있다.  그러니까 凉은 ‘시원한 물가와 높은 곳’이 돼 ‘서늘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凉天, 凉風, 凄凉, 淸凉飮料, 荒凉이 있다.  따라서 納凉은 ‘시원함을 들인다’가 돼 여름에 시원한 곳에서 서늘함을 맛보는 것을 뜻한다.  消極的인 避署法이라고나 할까.
  中國 南朝 陳의 詩人 徐陵은 ‘내원축량(內園逐凉)’이라는 詩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納凉高樹下(납량고수하) - 커다란 나무 그늘 아래서 납량을 하니
     直坐落花中(직좌낙화중) - 머리위엔 꽃잎이 떨어지네
  본디 納凉이란 나무 그늘 아래서 더위를 식히는 것이었다.  우리 祖上들의 納凉도 부채를 부친다거나 동네 느티나무 그늘을 찾아 더위를 식혔으며, 밤이면 竹夫人을 껴안고 자기도 했다.  그래도 더우면 溪谷에 발을 담그는 것(濯足․탁족)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요즘은 納凉으로 不足해 避署를 간다.  예나 지금이나 더위는 같을지언대 解消하는 方法은 많이 달라진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79
163 妄 言 이규 2013.09.20 1881
162 破 格 이규 2013.10.07 1882
161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84
160 彌縫策 셀라비 2014.09.23 1885
159 家 庭 이규 2013.07.25 1891
158 鴛 鴦 이규 2013.12.01 1894
157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896
156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97
155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97
154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99
153 瓦 解 이규 2013.08.18 1900
152 拍 車 셀라비 2013.12.19 1903
151 春困症 이규 2013.07.27 1906
15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910
149 歸 順 이규 2013.07.23 1917
148 中 國 이규 2013.09.03 1917
147 選 良 이규 2013.08.07 1919
146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1919
145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