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42
어제:
1,186
전체:
764,731

鳩首會議

2013.01.21 22:04

이규 조회 수:1229

 

鳩비둘기 구
首머리 수
會모을 회
議의논 의

 

鳩首會議 비둘기처럼 머리를 맞대고 의논함

 

  鳩는 鳥와 九의 結合이다.  따라서 얼핏 보아도 ‘새’와 관련된 글자임을 알 수 있다.  漢字에서만 볼 수 있는 한 特徵이다.  ‘九’가 덧붙은 것은 이놈들이 늘 ‘구구’하고 울기 때문이다.  따라서 鳩는 形聲字인 셈이다.
  비둘기는 일찍부터 家禽이 되어 人間과 親熟하게 지내왔다.  그러다 보니 基督敎에서는 聖靈의 象徵으로 되어있는가 하면 특히 올리브를 입에 물고 있는 비둘기는 平和의 象徵으로 여겼다.  西洋에서 비둘기를 抽象化해 利用했던데 반해 東洋에선 實質的으로 利用했다.  곧 敏捷性과 귀소성(歸巢性)을 利用해 일찍부터 通信에 利用하곤 했는데 전서구(傳書鳩)가 그것이다.  또 競走와 도박(賭博), 심지어는 食用으로도 利用했다.   現在 中國料理에는 비둘기 고기가 많이 登場한다.
  비둘기는 늘 수십마리가 무리지어 한데 산다.  그래서 鳩合이라면 여럿을 불러 모은다는 ‘糾合’의 뜻으로 사용된다.  비둘기에서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特徵은 그렇게 무리지어 살면서도 서로 다투거나 얼굴을 붉히는 法이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비둘기는 ‘다정한 夫婦’에 比喩되기도 한다.  그것도 모자라서 인지 늘 머리를 맞대고 무엇인가 귀엣말을 주고 받곤 한다.  鳩首는 바로 비둘기가 머리를 맞대고 있는 模襲을 표현한 말이다.
  鳩首會議란 말을 접할 때가 종종있다.  마치 비둘기처럼 머리를 맞대고 뭔가 심각하게 議論하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말이다.  重要한 事案이 發生했을 때 흔히 볼 수 있는 光景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55
363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952
362 標 榜 이규 2013.08.10 1951
361 席 捲 이규 2013.05.31 1947
360 鼓腹擊壤 이규 2015.04.13 1945
359 道 路 이규 2013.08.17 1945
358 孤立無援 셀라비 2015.04.12 1943
357 大器晩成 이규 2013.10.22 1943
356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43
355 大公無私 이규 2013.10.16 1935
354 國會 이규 2012.11.07 1933
353 雲 集 이규 2013.08.09 1929
352 櫛 比 이규 2013.08.08 1929
351 奇蹟 이규 2012.12.06 1927
350 竹馬故友 셀라비 2014.10.17 1926
349 猪 突 이규 2013.11.27 1921
348 杯中蛇影 이규 2013.04.09 1921
347 花 信 셀라비 2013.08.02 1920
346 審判 이규 2012.10.30 1919
345 淸 貧 yikyoo 2014.06.15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