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80
어제:
286
전체:
767,114

鳩首會議

2013.01.21 22:04

이규 조회 수:1269

 

鳩비둘기 구
首머리 수
會모을 회
議의논 의

 

鳩首會議 비둘기처럼 머리를 맞대고 의논함

 

  鳩는 鳥와 九의 結合이다.  따라서 얼핏 보아도 ‘새’와 관련된 글자임을 알 수 있다.  漢字에서만 볼 수 있는 한 特徵이다.  ‘九’가 덧붙은 것은 이놈들이 늘 ‘구구’하고 울기 때문이다.  따라서 鳩는 形聲字인 셈이다.
  비둘기는 일찍부터 家禽이 되어 人間과 親熟하게 지내왔다.  그러다 보니 基督敎에서는 聖靈의 象徵으로 되어있는가 하면 특히 올리브를 입에 물고 있는 비둘기는 平和의 象徵으로 여겼다.  西洋에서 비둘기를 抽象化해 利用했던데 반해 東洋에선 實質的으로 利用했다.  곧 敏捷性과 귀소성(歸巢性)을 利用해 일찍부터 通信에 利用하곤 했는데 전서구(傳書鳩)가 그것이다.  또 競走와 도박(賭博), 심지어는 食用으로도 利用했다.   現在 中國料理에는 비둘기 고기가 많이 登場한다.
  비둘기는 늘 수십마리가 무리지어 한데 산다.  그래서 鳩合이라면 여럿을 불러 모은다는 ‘糾合’의 뜻으로 사용된다.  비둘기에서 볼 수 있는 또 하나의 特徵은 그렇게 무리지어 살면서도 서로 다투거나 얼굴을 붉히는 法이 없다는 점이다.  그래서 비둘기는 ‘다정한 夫婦’에 比喩되기도 한다.  그것도 모자라서 인지 늘 머리를 맞대고 무엇인가 귀엣말을 주고 받곤 한다.  鳩首는 바로 비둘기가 머리를 맞대고 있는 模襲을 표현한 말이다.
  鳩首會議란 말을 접할 때가 종종있다.  마치 비둘기처럼 머리를 맞대고 뭔가 심각하게 議論하고 있는 模襲에서 나온 말이다.  重要한 事案이 發生했을 때 흔히 볼 수 있는 光景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杜鵑 이규 2013.03.20 2110
403 持 滿 이규 2013.11.28 2109
402 蹴 鞠 이규 2013.07.16 2106
401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2102
400 千字文 이규 2013.10.12 2101
399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099
398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097
39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093
396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091
395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090
394 問 鼎 이규 2013.11.23 2088
393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087
392 사리 셀라비 2015.04.18 2085
391 文 獻 셀라비 2014.03.03 2085
390 人 倫 이규 2013.07.29 2075
389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70
388 改 閣 이규 2013.08.26 2070
387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067
386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062
385 苦 杯 이규 2013.08.03 20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