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74
어제:
1,186
전체:
764,663

伯仲勢

2013.01.16 21:30

이규 조회 수:1105

 

伯 맏 백
仲 버금 중
勢 권세 세

 

伯仲勢-세력이 엇 비슷함

 

날에는 男子가 20세가 되면 冠禮를 行하고 ‘字’를 내렸다.  두세자로 만들었는데 그중 한 字는 형제간의 序列을 딴 경우가 많았다.  이를테면 伯仲叔季가 그것으로 첫째가 伯, 둘째가 仲, 세째가 叔, 넷째가 季였다.
  그래서 字를 보면 그 사람의 항렬(行列)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孔子는 仲尼이므로 둘째, 충절로 유명한 伯夷와 叔齊는 각각 맏이와 세째임을 알 수 있다.  後에는 넷까지 구별하기 煩雜스러워 그냥 큰 사람을 伯, 작은 사람을 叔이라고만 불렀다.  그래서 伯父는 큰아버지, 叔父는 작은 아버지를 뜻한다.
  伯仲이라면 첫째와 둘째를 가리킨다.  兄弟가 많다보면 兄弟간에 나이 차이도 크게 되지만 아무래도 첫째와 둘째는 엇비슷한 경우가 많다.  또 나이 50이 돼 知天命의 境地에 이르면 兄弟간의 區別은 더욱 애매(曖昧)하게 된다.  그래서 難兄難弟란 말도 나오게 되었다.  따라서 伯仲 또는 伯仲勢라면 맏이와 둘째의 區別이 거의 없는 것과 같이 勢力이 엇비슷한 境遇를 가리킨다.
  三國時代 魏나라를 세운 조비(曹丕)는 中國 最初의 文學 評論이라 할 수 있는 [論文]에서 當時 文人들이 자기만 잘났다고 뽐내는 풍조를 꼬집었다.  [漢書]의 作者로 잘알려진 반고(班固)도 그랬던 모양이다.  그는 同僚였던 부의(傅毅)의 글을 혹평(酷評)했다.  “사실 내가 보기에 둘다 伯仲勢인데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823
363 鷄 肋 이규 2014.05.15 1722
362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827
361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726
360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459
359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82
358 猶 豫 셀라비 2014.04.23 1655
357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694
356 明 堂 셀라비 2014.04.15 1704
355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692
354 旱 魃 셀라비 2014.04.04 1727
353 觀 察 셀라비 2014.03.28 1583
352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39
351 官 吏 셀라비 2014.03.23 1630
350 秀 才 셀라비 2014.03.19 1780
349 社 會 셀라비 2014.03.18 1774
348 鼻 祖 셀라비 2014.03.17 1693
347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701
346 狡 猾 셀라비 2014.03.13 1752
345 完璧 셀라비 2014.03.12 1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