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89
어제:
315
전체:
766,737

伯仲勢

2013.01.16 21:30

이규 조회 수:1151

 

伯 맏 백
仲 버금 중
勢 권세 세

 

伯仲勢-세력이 엇 비슷함

 

날에는 男子가 20세가 되면 冠禮를 行하고 ‘字’를 내렸다.  두세자로 만들었는데 그중 한 字는 형제간의 序列을 딴 경우가 많았다.  이를테면 伯仲叔季가 그것으로 첫째가 伯, 둘째가 仲, 세째가 叔, 넷째가 季였다.
  그래서 字를 보면 그 사람의 항렬(行列)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孔子는 仲尼이므로 둘째, 충절로 유명한 伯夷와 叔齊는 각각 맏이와 세째임을 알 수 있다.  後에는 넷까지 구별하기 煩雜스러워 그냥 큰 사람을 伯, 작은 사람을 叔이라고만 불렀다.  그래서 伯父는 큰아버지, 叔父는 작은 아버지를 뜻한다.
  伯仲이라면 첫째와 둘째를 가리킨다.  兄弟가 많다보면 兄弟간에 나이 차이도 크게 되지만 아무래도 첫째와 둘째는 엇비슷한 경우가 많다.  또 나이 50이 돼 知天命의 境地에 이르면 兄弟간의 區別은 더욱 애매(曖昧)하게 된다.  그래서 難兄難弟란 말도 나오게 되었다.  따라서 伯仲 또는 伯仲勢라면 맏이와 둘째의 區別이 거의 없는 것과 같이 勢力이 엇비슷한 境遇를 가리킨다.
  三國時代 魏나라를 세운 조비(曹丕)는 中國 最初의 文學 評論이라 할 수 있는 [論文]에서 當時 文人들이 자기만 잘났다고 뽐내는 풍조를 꼬집었다.  [漢書]의 作者로 잘알려진 반고(班固)도 그랬던 모양이다.  그는 同僚였던 부의(傅毅)의 글을 혹평(酷評)했다.  “사실 내가 보기에 둘다 伯仲勢인데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454
323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81
322 淘 汰 이규 2013.05.28 1637
321 露 骨 이규 2013.05.29 1305
320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60
319 席 捲 이규 2013.05.31 1969
318 正 鵠 이규 2013.06.02 1635
317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730
316 出 馬 이규 2013.06.04 1605
315 蜂 起 이규 2013.06.05 1641
314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2011
313 頭 角 이규 2013.06.07 1573
312 戰 國 이규 2013.06.09 1557
311 國 家 이규 2013.06.10 1496
310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549
309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728
308 臨機應變 [1] 이규 2013.06.13 1546
307 兎死狗烹 이규 2013.06.14 1683
306 誘 致 이규 2013.06.17 1656
305 迎 入 [1] 이규 2013.06.18 2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