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0
어제:
1,186
전체:
764,719

崩壞

2013.01.13 16:04

이규 조회 수:1151

崩 산무너질 붕
壞 흙무너질 괴

崩壞-산과 흙이 무너짐


崩은 山과 벗 붕(朋)의 結合이다.  典型的인 형성자(形聲字)로 山이 ‘붕!’하고 무너지는 소리를 본 떠 만든 글자이다.  山이 무너지면 굉음(轟音)과 함께 그곳의 돌이나 나무, 풀도 함께 매몰(埋沒)된다.  그래서 崩은 天子의 죽음을 象徵하기도 한다.  여기서 나온 말에 붕어(崩御)가 있다.  諸葛亮이 蜀의 後主 劉禪(劉備의 아들)에게 올린 出師表를 보면 그 첫머리에 劉備의 죽음에 대해 언급한 대목이 나온다.
   “先帝께서 創業하신 뒤 半도 이루지 못하고 붕조(崩俎)하시고 …”
  壞는 土와 회(  )의 결합이고   에는 ‘옷’을 뜻하는 衣가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물건을 몰래 훔쳐 옷속에 감춰두고 있는 形狀이다.  그래서 ‘품다’, ‘간직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마음속에 간직하고 있는 것이 懷(생각할 회, 품을 회)다.  그런데 물건을 잃은 쪽에서는 허전하기 이를 데 없다. 그래서 懷는 ‘망치다’, ‘텅비다’는 뜻도 함께 가지고 있다. 흙이나 땅이 텅비어 있는 것이 壞다.  그 땅은 무너질 수 밖에 없다. 그래서 壞 역시 ‘무너지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壞死, 破壞등의 말이 있다.   따라서 崩壞의 본디 뜻은 ‘산이나 흙이 무너져 내리는 것’이다.  옛날의 경우 그것은 대체로 洪水나 地震 등과 같은 天災地變 때문에 일어났다.  그런데 어찌된 일인지 지금의 崩壞는 人災로 나타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季布一諾 셀라비 2014.05.24 1825
363 鷄 肋 이규 2014.05.15 1724
362 傾國之色 셀라비 2014.05.14 1836
361 乞骸骨 셀라비 2014.05.12 1732
360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463
359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87
358 猶 豫 셀라비 2014.04.23 1659
357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699
356 明 堂 셀라비 2014.04.15 1709
355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695
354 旱 魃 셀라비 2014.04.04 1729
353 觀 察 셀라비 2014.03.28 1586
352 知 音 셀라비 2014.03.24 1943
351 官 吏 셀라비 2014.03.23 1634
350 秀 才 셀라비 2014.03.19 1785
349 社 會 셀라비 2014.03.18 1781
348 鼻 祖 셀라비 2014.03.17 1696
347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708
346 狡 猾 셀라비 2014.03.13 1760
345 完璧 셀라비 2014.03.12 1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