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28
어제:
776
전체:
770,764

度外視

2013.01.12 11:14

홍석균 조회 수:3469

度(법도 도)外(바깥 외)視(볼 시)
안중에 두지 않고 무시하거나 불문에 붙인다는 뜻이다.


전한 말기에 천하가 어지러워진 틈을 타서 황제를 시해하고 나라를 빼앗아 신나라를 세운 왕망은 비현실적일 뿐 아니라
백성들의 정서에 위배되는 엉터리 정책을 고집하다가 끝내 절호의 기회를 놓치고 신세를 망치고 말았다.
그 왕망을 토멸한 사람이 한나라 황실 종친인 유수인데, 같은 종친인 유현을 황제로 옹립하고 자신은 대사마에 올라 동마,
적미 등 다른 반란 세력을 토벌하면서 국가 재건에 진력했다.
그렇지만, 이미 쇠퇴할 대로 쇠퇴한 한나라의 국운이 그런다고 쉽게 회복될 리가 없으므로, 부하들은 그를 새 황제로 
옹립하여 새로운 나라를 건설하기로 했다.
그것이 후한이며, 보위에 오른 유수는 광무제로 불리게 되었다.
광무제는 천하통일을 이룩하기 위한 전쟁을 계속하여 이윽고 중원을 모두 평정했는데, 문제는 서쪽 변방이었다.
농서 지방에 웅거한 외효와 성도에 근거지를 둔 공손술 두 실력자는 여전히 항복하지 않고 그 땅의 주인 노릇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저들이 중원에서 떨어진 지리적 이점만 믿고 여전히 반기를 들고 있으니 용서할 수 없습니다.
당장 토벌군을 파견해야 합니다."
대신들은 이구동성으로 이렇게 건의했다.
그러나, 광무제의 생각은 달랐다.
무엇보다도 오랫동안 각지를 전전하며 전투에 영일이 없었던 장수들과 병사들의 수고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경들의 뜻을 잘 알겠으나, 이미 중원을 평정한 이상 그들은 안중에 두지 않아도 괜찮을 듯 싶소"
이렇게 완곡한 뜻을 밝힌 광무제는 피로한 장수들과 병사들에게 상을 내리고 고향에 돌아가 쉬도록 해 주었다.
그 후 외효가 죽자 그의 아들이 자진해서 항복해 왔으므로, 광무제는 그 여세를 몰아 성도로 쳐들어가 공손술도 
토멸해버렸다.
그리하여 천하는 비로소 전쟁의 티끌이 가라앉아 조용해졌고, 후한은 새로운 부흥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4800
177 明鏡止水 홍석균 2013.02.14 3838
176 성공은 항상 곤궁 다음에 오는 것이다. 이규 2013.02.14 3317
175 面目 홍석균 2013.02.13 3625
174 남의 성공을 도우면 나의 성공이 따라온다. 이규 2013.02.13 3466
173 盲人瞎馬 [1] 홍석균 2013.02.12 3507
172 실패 예찬 이규 2013.02.12 3759
171 孟母三遷 [1] 홍석균 2013.02.11 3733
170 孟母斷機 홍석균 2013.02.10 3407
169 麥舟 홍석균 2013.02.09 3836
168 麥秀之歎 홍석균 2013.02.08 3570
167 스트레스를 즐겨라 이규 2013.02.08 3718
166 麥丘邑人 홍석균 2013.02.07 3476
165 부족함은 포기의 이유가 아니라, 성공의 원인이다. 이규 2013.02.07 3740
164 買死馬骨 홍석균 2013.02.06 3445
163 반대없는 의사결정은 위험하다. 이규 2013.02.06 3386
162 梅林止渴 홍석균 2013.02.05 3510
161 세상은 거울이다. 이규 2013.02.05 3430
160 買牘而還珠 홍석균 2013.02.04 3642
159 진주가 아름다운 이유 이규 2013.02.04 3297
158 芒刺在背 홍석균 2013.02.03 3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