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9
어제:
289
전체:
769,356

葡萄

2013.01.09 20:02

이규 조회 수:1232

 



葡萄- 서역서 전래된 과일


葡는 ‘기는 풀’이라는 뜻이며, 萄는 옹기장이가 옹기(缶-장군 부)를 만들 때 감싸듯이(包-쌀 포) ‘감싸는 풀’이다.  곧 葡萄는 땅을 기듯 덩굴을 뻗어 덩굴손이 자꾸만 다른 物體를 감으면서 자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사마천(司馬遷)의 [史記]에 의하면 葡萄는 기원전 120년께 한무제(漢武帝) 때 西域(지금의 중앙 아시아 일대)을 개척했던 장건(張騫) 一行이 그곳에서 가져와 심었다고 한다.  산머루를 改良한 것이다.
  唐은 崔全盛期를 이루었던 時期로 國力이 四方으로 뻗쳤다.  이때 多量의 文物이 西域에서 傳來되었는데 그 중에는 葡萄 무늬도 있었다.  玄宗이 楊貴妃를 위해 비단에 葡萄 무늬를 수 놓을 西域人을 徵用해 왔음은 유명한 逸話이다.
  그래서인지 唐과 가까왔던 新羅도 와당(瓦當)이나 전(塼)에서 葡萄 무늬를 많이 사용햇는데 그것은 알알이 여무는 葡萄가 多孫, 多福의 象徵이었기 때문이었다.
  요즘 그 葡萄가 한창이다.  탐스럽게 여문 葡萄를 먹으면서 문득 생각 나는 詩가 있다. 내 고장 七月은 靑葡萄가 익어가는 시절.  이마을 전설이 주저리주저리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꾸며 알알이 들어와 박혀 ….  이 가을에 葡萄가 낭만을 더해 주는 것 같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如意 이규 2012.12.04 3268
443 焦眉 이규 2012.12.05 1684
442 奇蹟 이규 2012.12.06 2000
441 覇權 이규 2012.12.08 1247
440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43
43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2054
438 民心 이규 2012.12.09 1574
437 同盟 이규 2012.12.10 1444
436 賂物 이규 2012.12.11 1499
435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694
434 電擊 이규 2012.12.13 1218
433 兩立 이규 2012.12.13 1558
432 不惑 이규 2012.12.17 1700
431 犧牲 이규 2012.12.18 1354
430 管轄 이규 2012.12.20 1673
429 氾濫 이규 2012.12.26 1464
428 人質 이규 2012.12.27 1598
427 籌備 이규 2012.12.28 1617
426 憲法 이규 2012.12.29 1211
425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