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13
어제:
257
전체:
762,415

한자 從容有常

2014.01.17 20:51

셀라비 조회 수:1719

從容有常

쫓을

얼굴

있을

항상

안색, 행동을 바꾸지 않고 소신대로

행함

 순수 우리말인  같지만 알고 보면 漢字語에서 由來 것이 많다.「흐지부지」(諱之非之휘지비지),장난作亂),야단법석惹端法席),우악愚惡등이 그렇다떠들지 않고 소리없이 얌전한 것을 「조용이라고 하는데, 이것 역시 한자 「종용」(從容에서 나왔다直譯하면 「얼굴에 따른다  뜻이다

 예로부터 君子 喜怒哀樂 感情 얼굴에 나타내는 것은 禁物이었다얼굴은人格 나타낸다고 보았으므로  변치 않는 顔色 지녀야 했다그러기 위해서 顔色  움직임이 없는 「조용한 狀態 維持해야 한다유상有常은무상無常 反對  변치 않는 상도常道 지니고 있음을 뜻한다그러니까 종용유상從容有常이란 外部 어떠한 狀況에도 顔色 行動 바꾸지않고 平素 所信 따라 정도正道 걷는다는 것을 意味한다.『예기禮記)』 나오는 孔子 말이다

 그는 指導者 態度 그래야 한다고 보았다行動擧止 항상 조용하고從容法度 벗어나서는 안되며有常, 심지어는 옷도 자주 바뀌어서는 안된다고 했다그래야만 百姓 다스릴  있고 百姓 또한 그의  感化받아 不變忠誠心 보인다는 것이다그러고 보면 종용유상從容有常 우리 모두의 德目 아닐까 싶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4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56
203 洛陽紙貴 셀라비 2013.10.29 1676
202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879
201 豈有此理 이규 2013.10.31 1752
200 鼓 舞 이규 2013.11.01 1681
199 雲 雨 셀라비 2013.11.02 1536
198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663
197 物 色 이규 2013.11.05 1697
196 猖 獗 이규 2013.11.06 1665
195 痼 疾 이규 2013.11.07 1689
194 乾坤一擲 이규 2013.11.10 1701
193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009
192 角 逐 셀라비 2013.11.14 1734
191 執牛耳 이규 2013.11.15 1867
190 貢 獻 이규 2013.11.16 1731
189 壓 卷 이규 2013.11.18 1801
188 問 鼎 이규 2013.11.23 1925
187 後生可畏 이규 2013.11.24 1581
186 門前成市 이규 2013.11.25 1691
185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