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32
어제:
1,186
전체:
764,721

恒産恒心

2013.01.02 20:50

이규 조회 수:1132

 

恒 항상 항
産 재산 산
恒 항상 항
心 마음 심

恒産恒心 재산이 있어야 마음의 여유가 생김


孟子가 遊說에 失敗하고 초라한 모습으로 故鄕{山東縣}에 돌아와 쓸쓸히 晩年을 보낼 때의 일이다.  故鄕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등(騰)이라는 小國이 있었다.  그가 故鄕에 돌아왔다는 消息을 들은 騰文公은 그를 國政의 顧問으로 招聘했다.  孟子가 오자 그는 대뜸 治國의 方策을 물었다.
  사실 孟子는 爲民政治 理念에 透徹했던 사람이다.  그래서 늘 統治者 보다는 百姓의 立場에 서서 政治를 論했다.  그는 文公에게 王道政治를 說明하면서 그 첫걸음은 百姓들의 衣食住를 滿足하게 해주는데 있다고 했다.  제 아무리 仁義니 道德을 强調한들 百姓들이 굶주리고 있다면 砂上樓閣에 不過할 뿐이다.  곧 民生의 安定이 무엇보다 重要함을 力說했던 것이다.  그래서 말했다.
   “有恒産이면 有恒心입니다(변치 않는 財産이 있으면 변치 않는 마음도 있는 법).”
  이 말을 뒤집어 보면 恒産이 없으면 恒心도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 우리 俗談에도 ‘쌀 독에서 인심난다’는 말이 있다.  또 ‘사흘 굶어서 도둑 안되는 자 없다’는 말도 있다.  治國의 捷徑, 그것은 民生에 있다.  먼저 百姓을 배불리 먹여 놓고 볼 일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29
123 格物致知 이규 2013.04.04 1610
122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470
121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656
120 守株待兎 이규 2013.03.29 1581
119 月下老人 이규 2013.03.28 1512
118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504
117 居安思危 이규 2013.03.26 1568
116 安貧樂道 이규 2013.03.25 1513
115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704
114 似而非 이규 2013.03.21 1515
113 杜鵑 이규 2013.03.20 2088
11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273
111 跛行 이규 2013.03.18 1521
110 討 伐 이규 2013.03.17 1524
109 燎原之火 이규 2013.03.14 1760
108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527
107 理判事判 이규 2013.03.07 1401
106 患難相恤 이규 2013.03.02 1494
105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