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77
어제:
257
전체:
762,179

恒産恒心

2013.01.02 20:50

이규 조회 수:1076

 

恒 항상 항
産 재산 산
恒 항상 항
心 마음 심

恒産恒心 재산이 있어야 마음의 여유가 생김


孟子가 遊說에 失敗하고 초라한 모습으로 故鄕{山東縣}에 돌아와 쓸쓸히 晩年을 보낼 때의 일이다.  故鄕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등(騰)이라는 小國이 있었다.  그가 故鄕에 돌아왔다는 消息을 들은 騰文公은 그를 國政의 顧問으로 招聘했다.  孟子가 오자 그는 대뜸 治國의 方策을 물었다.
  사실 孟子는 爲民政治 理念에 透徹했던 사람이다.  그래서 늘 統治者 보다는 百姓의 立場에 서서 政治를 論했다.  그는 文公에게 王道政治를 說明하면서 그 첫걸음은 百姓들의 衣食住를 滿足하게 해주는데 있다고 했다.  제 아무리 仁義니 道德을 强調한들 百姓들이 굶주리고 있다면 砂上樓閣에 不過할 뿐이다.  곧 民生의 安定이 무엇보다 重要함을 力說했던 것이다.  그래서 말했다.
   “有恒産이면 有恒心입니다(변치 않는 財産이 있으면 변치 않는 마음도 있는 법).”
  이 말을 뒤집어 보면 恒産이 없으면 恒心도 있을 수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 우리 俗談에도 ‘쌀 독에서 인심난다’는 말이 있다.  또 ‘사흘 굶어서 도둑 안되는 자 없다’는 말도 있다.  治國의 捷徑, 그것은 民生에 있다.  먼저 百姓을 배불리 먹여 놓고 볼 일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473
123 肝膽相照 [1] 셀라비 2014.11.23 1471
122 前 轍 이규 2013.06.24 1471
121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470
120 出 馬 이규 2013.06.04 1470
119 傾 聽 이규 2013.07.03 1469
118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467
117 人質 이규 2012.12.27 1467
116 籌備 이규 2012.12.28 1466
115 杞 憂 셀라비 2014.06.05 1462
114 乾木水生 셀라비 2014.11.30 1460
113 似而非 이규 2013.03.21 1460
112 矛 盾 셀라비 2014.08.19 1455
111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452
110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451
109 頭 角 이규 2013.06.07 1451
108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451
107 省墓 이규 2012.11.01 1451
106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448
105 戰 國 이규 2013.06.09 14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