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54
어제:
1,186
전체:
764,643

輻輳

2013.01.02 20:47

이규 조회 수:1112

 

輻 바퀴살 폭
輳 바퀴살 주

輻輳-한꺼번에 한 곳으로 몰림


간혹 ‘業務가 輻輳하여 … ’라는 말을 때가 들을 때가 있다.  輻輳란 한꺼번에 한곳으로 集中되는 것을 말한다.  ‘輻輳’ 모두 車가 있으므로 ‘수레’와 관계있음을 알 수 있다. 먼저 輻을 보자.  福은 ‘滿’의 뜻이 있다.  一例로 鬼神(示)이 加護를 내려주어 사람을 滿足시켜 주는 것이 福자다.  輻이라면 수레(車)가 가득 찼다(福)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수레의 바퀴살을 뜻한다.  옛날의 수레바퀴에는 都合 30개의 바퀴살이 있어 바퀴를 가득 채웠다(福)고 해 만들어진 글자다.  곧 輻은 수레의 바퀴살인 셈이다.
  한편 輳의 奏는 ‘아랠 주’로 百姓이나 臣下가 임금에게 意見을 改進하는 것을 말한다.  흔히 上奏라고 한다.  專制君主時代의 임금이란 天上天下 唯我獨尊적인 存在였으므로 뭇 의견이 오직 임금 한 사람에게 集中되었다.  그래서 奏는 ‘集中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輳는 수레가 한 곳에 集中되는 ‘駐車場’이라고 볼 수 있겠지만 여기선 ‘수레중에서 集中이 되는 부분’이라고 봄이 옳겠다.  자전거 바퀴를 보면 여러개의 살이 가운데에 있는 굴대축을 향해 한 지점으로 합쳐져 있다.  그 부분이 輳다.
  곧 輻輳라면 수레의 바퀴살이 굴대 부분에 集中된다는 뜻이다.  따라서 輻輳의 反對는 바퀴살이 가운데의 굴대에서 바깥의 바퀴{윤곽(輪廓)}를 향해 뻗어 나간 狀態가 되겠는데 그것이 복사(輻射)이다.  이 때 ‘輻’은 ‘복’으로 읽는다. 輻射熱이라면 中央의 한점으로부터 四方으로 뻗어나오는 熱을 말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4 席 捲 이규 2013.05.31 1938
123 단골집 셀라비 2015.03.30 1940
122 標 榜 이규 2013.08.10 1944
121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45
120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47
119 沐浴 [1] 이규 2013.04.08 1952
118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54
117 不忍之心 이규 2013.07.13 1956
116 執牛耳 이규 2013.11.15 1959
115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61
114 誣 告 이규 2013.07.24 1963
113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65
112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71
111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974
110 至孝 이규 2012.10.29 1975
109 賞 春 이규 2013.08.15 1976
108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79
107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81
106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82
105 快 擧 이규 2013.07.21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