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685
어제:
783
전체:
770,045

自暴自棄

2013.01.01 17:32

이규 조회 수:1751

 

自 스스로 자
暴 포악할 포
自 스스로 자
棄 버릴 기

自暴自棄-눈앞 이익에 현혹돼 도리를 망각함

 

自暴自棄라면 ‘될대로 대라’는 식의 체념(諦念)으로 알고 있지만 본뜻은 그렇지 않다.  孟子가 一生토록 重視한 것은 仁義였다.  梁惠王이 그를 만나자 대뜸 “우리나라에 무슨 利益을 주겠느냐?” 고, 묻자 孟子는 볼멘 소리로 答했다.  “王께서는 하필 利益을 말씀하십니까.  저에게는 오직 仁義만이 있습니다.”
  당시 사람들은 目前의 利益에만 血眼이 된 나머지 仁義를 멀리했다. 그는 그것이 무척 안타까웠던 것이다.  그래서 말했다.
 “自暴하는 者와는 함께 이야기할 수 없고, 自棄하는 者와는 함께 일할 수 없다.  입만 벌리고 禮와 義를 秘方하는데 이것을 自暴라 하고, 仁義를 實踐할 수 없는 자를 自棄라 한다.  仁은 집이요, 義는 길인데, 사람들이 살집을 버리고 마땅히 걸어야 할 正道는 걷지 않으니 슬프구나!”
  곧 自暴는 惡行을 일삼는 者, 自棄는 善을 行하지 못하는 者이니 한마디로 ‘못된 놈’과 ‘덜된 놈’의 差異라 할 수 있다.  그래서 孟子는 ‘못된 놈{自暴}’과는 말할 것이 못되며, ‘덜된 놈{自棄}’과는 함께 일할 수 없다고 했다.  孔子도 ‘뜻을 달리하면 함께 일할 수 없다{道不同, 不相爲謀}’고 하지 않았던가.
  그렇다. 目前의 利益에만 血眼이 되어 人間의 道理를 妄覺하는 者가 바로 自暴自棄하는 사람이다.  孟子의 말씀은 오늘날에도 示唆하는 바 크다.  聖人의 말씀은 그래서 값어치가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洪水 이규 2013.02.02 1482
423 三人成虎 셀라비 2014.10.28 1482
42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489
421 乾坤一擲 셀라비 2014.11.29 1491
420 告由文 이규 2013.07.08 1494
419 賂物 이규 2012.12.11 1499
418 糟糠之妻 셀라비 2014.10.14 1499
417 古 稀 셀라비 2014.09.22 1503
416 周 年 이규 2013.06.20 1504
415 未亡人 셀라비 2014.10.29 1505
414 文 字 이규 2013.07.06 1515
413 白 眉 셀라비 2014.09.26 1520
412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521
411 刻舟求劍 셀라비 2014.11.21 1524
41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529
40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32
408 刻骨難忘 [1] 셀라비 2014.11.19 1532
407 苛政猛於虎 셀라비 2014.05.03 1534
406 野合而生 이규 2013.04.02 1536
405 國 家 이규 2013.06.10 15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