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6
어제:
1,101
전체:
763,559

籌備

2012.12.28 19:56

이규 조회 수:1503


籌 산가지 주
備 갖출 비


籌備-요모조모 꾀하여 갖추다


籌는 ‘수명{壽}을 判別하는 대나무{竹}’로 옛날 占과 關係가 있다.  初期에는 거북 껍질을 불에 달군 송곳으로 뚫어 나타나는 금으로 吉凶을 점쳤는데 이것이 占 또는 占卜을 意味한다.  그러나 後에 오면 풀이나 대나무를 使用했는데 각기 시초(蓍草)와 籌라고 했다.  그러니까 籌는 占을 쳤던 길게 자란 대나무란 뜻이 된다.  後에 셈하는 데에도 使用돼 ‘산 가지’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점쟁이들이 算筒에 산가지를 넣어 占을 치곤 했다.
  占을 보든, 셈을 하든 ‘헤아리는 것’은 같다.  그래서 籌는 ‘헤아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주책(籌策-생각해 본 끝에 나온 꾀나 策略), 籌板(珠板이라고도 함)이 있다.
  備는 사람이 무기고(庫)를 지키고 있는 모습으로 侵掠이나 掠奪에 對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따라서 ‘準備’, ‘對備’, ‘갖추다’는 뜻을 갖게 됐다.  備忘錄, 備品, 警備, 防備가 있다.
  곧 籌備라면 ‘요모조모 꾀하여 갖춘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深思熟考가 介入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어떤 일을 꾀함에 있어 깊은 計劃과 論議를 하면서 準備가 함께 이루어 지고 있음을 意味한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것을 ‘미리 마련해 갖추어 놓는다’는 뜻의 準備와는 엄연히 區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4 겻불 셀라비 2015.04.12 2122
423 조바심하다 셀라비 2015.04.30 2117
422 包靑天 이규 2013.09.15 2114
421 郊 外 이규 2013.07.28 2096
420 雁 書 셀라비 2014.02.04 2090
419 渴而穿井 셀라비 2014.11.24 2089
418 쫀쫀하다 셀라비 2015.05.04 2088
417 百 姓 이규 2013.10.06 2085
416 政經癒着 이규 2013.09.05 2072
415 敎 育 이규 2013.09.23 2068
414 邯鄲之夢 셀라비 2013.10.01 2068
413 臨 終 이규 2013.08.01 2066
412 經世濟民 LeeKyoo 2014.12.12 2063
411 夜不閉戶 이규 2013.08.29 2062
410 紛 糾 이규 2013.09.25 2060
409 鷄卵有骨 셀라비 2014.12.14 2060
408 股肱之臣 이규 2015.01.12 2054
407 肝膽相照 이규 2013.11.12 2053
406 杜鵑 이규 2013.03.20 2045
405 蹴 鞠 이규 2013.07.16 2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