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389
어제:
1,179
전체:
765,257

籌備

2012.12.28 19:56

이규 조회 수:1554


籌 산가지 주
備 갖출 비


籌備-요모조모 꾀하여 갖추다


籌는 ‘수명{壽}을 判別하는 대나무{竹}’로 옛날 占과 關係가 있다.  初期에는 거북 껍질을 불에 달군 송곳으로 뚫어 나타나는 금으로 吉凶을 점쳤는데 이것이 占 또는 占卜을 意味한다.  그러나 後에 오면 풀이나 대나무를 使用했는데 각기 시초(蓍草)와 籌라고 했다.  그러니까 籌는 占을 쳤던 길게 자란 대나무란 뜻이 된다.  後에 셈하는 데에도 使用돼 ‘산 가지’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점쟁이들이 算筒에 산가지를 넣어 占을 치곤 했다.
  占을 보든, 셈을 하든 ‘헤아리는 것’은 같다.  그래서 籌는 ‘헤아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주책(籌策-생각해 본 끝에 나온 꾀나 策略), 籌板(珠板이라고도 함)이 있다.
  備는 사람이 무기고(庫)를 지키고 있는 모습으로 侵掠이나 掠奪에 對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따라서 ‘準備’, ‘對備’, ‘갖추다’는 뜻을 갖게 됐다.  備忘錄, 備品, 警備, 防備가 있다.
  곧 籌備라면 ‘요모조모 꾀하여 갖춘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深思熟考가 介入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어떤 일을 꾀함에 있어 깊은 計劃과 論議를 하면서 準備가 함께 이루어 지고 있음을 意味한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것을 ‘미리 마련해 갖추어 놓는다’는 뜻의 準備와는 엄연히 區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84
323 破 格 이규 2013.10.07 1882
322 妄 言 이규 2013.09.20 1881
321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80
320 개차반 셀라비 2015.03.27 1878
319 完璧 셀라비 2014.03.12 1877
318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76
317 回 甲 셀라비 2014.06.19 1874
316 問 津 이규 2013.10.25 1874
315 黃 砂 이규 2013.07.18 1871
314 부랴부랴 이규 2015.04.13 1870
313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70
312 董狐之筆 이규 2013.07.05 1869
311 會 計 이규 2013.08.05 1868
310 蝴蝶夢 셀라비 2013.12.24 1866
309 獨 對 이규 2013.12.08 1866
308 遠交近攻 이규 2013.07.04 1866
307 火 箭 이규 2013.08.20 1865
306 馬耳東風 셀라비 2014.06.22 1864
305 一場春夢 이규 2013.10.15 1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