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871
어제:
1,101
전체:
763,374

籌備

2012.12.28 19:56

이규 조회 수:1489


籌 산가지 주
備 갖출 비


籌備-요모조모 꾀하여 갖추다


籌는 ‘수명{壽}을 判別하는 대나무{竹}’로 옛날 占과 關係가 있다.  初期에는 거북 껍질을 불에 달군 송곳으로 뚫어 나타나는 금으로 吉凶을 점쳤는데 이것이 占 또는 占卜을 意味한다.  그러나 後에 오면 풀이나 대나무를 使用했는데 각기 시초(蓍草)와 籌라고 했다.  그러니까 籌는 占을 쳤던 길게 자란 대나무란 뜻이 된다.  後에 셈하는 데에도 使用돼 ‘산 가지’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점쟁이들이 算筒에 산가지를 넣어 占을 치곤 했다.
  占을 보든, 셈을 하든 ‘헤아리는 것’은 같다.  그래서 籌는 ‘헤아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주책(籌策-생각해 본 끝에 나온 꾀나 策略), 籌板(珠板이라고도 함)이 있다.
  備는 사람이 무기고(庫)를 지키고 있는 모습으로 侵掠이나 掠奪에 對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따라서 ‘準備’, ‘對備’, ‘갖추다’는 뜻을 갖게 됐다.  備忘錄, 備品, 警備, 防備가 있다.
  곧 籌備라면 ‘요모조모 꾀하여 갖춘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深思熟考가 介入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어떤 일을 꾀함에 있어 깊은 計劃과 論議를 하면서 準備가 함께 이루어 지고 있음을 意味한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것을 ‘미리 마련해 갖추어 놓는다’는 뜻의 準備와는 엄연히 區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4 濫 觴 셀라비 2014.06.20 1695
243 品 評 셀라비 2014.06.24 1694
242 庭 訓 이규 2014.01.03 1691
241 身土不二 이규 2013.11.04 1691
240 苛斂誅求 이규 2013.10.21 1691
239 娑 魚 셀라비 2014.06.03 1690
238 西 洋 셀라비 2014.03.02 1690
237 報勳 이규 2013.07.14 1690
236 餓 鬼 셀라비 2013.12.17 1688
235 傍若無人 셀라비 2013.11.26 1688
234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686
233 義 擧 이규 2013.10.21 1683
232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683
231 旱 魃 셀라비 2014.04.04 1681
230 月旦評 셀라비 2014.01.27 1680
229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680
228 狡 猾 셀라비 2014.03.13 1679
227 面 目 셀라비 2014.01.30 1675
226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674
225 光化門 이규 2012.11.03 1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