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76
어제:
257
전체:
762,478

籌備

2012.12.28 19:56

이규 조회 수:1479


籌 산가지 주
備 갖출 비


籌備-요모조모 꾀하여 갖추다


籌는 ‘수명{壽}을 判別하는 대나무{竹}’로 옛날 占과 關係가 있다.  初期에는 거북 껍질을 불에 달군 송곳으로 뚫어 나타나는 금으로 吉凶을 점쳤는데 이것이 占 또는 占卜을 意味한다.  그러나 後에 오면 풀이나 대나무를 使用했는데 각기 시초(蓍草)와 籌라고 했다.  그러니까 籌는 占을 쳤던 길게 자란 대나무란 뜻이 된다.  後에 셈하는 데에도 使用돼 ‘산 가지’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점쟁이들이 算筒에 산가지를 넣어 占을 치곤 했다.
  占을 보든, 셈을 하든 ‘헤아리는 것’은 같다.  그래서 籌는 ‘헤아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주책(籌策-생각해 본 끝에 나온 꾀나 策略), 籌板(珠板이라고도 함)이 있다.
  備는 사람이 무기고(庫)를 지키고 있는 모습으로 侵掠이나 掠奪에 對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따라서 ‘準備’, ‘對備’, ‘갖추다’는 뜻을 갖게 됐다.  備忘錄, 備品, 警備, 防備가 있다.
  곧 籌備라면 ‘요모조모 꾀하여 갖춘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深思熟考가 介入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어떤 일을 꾀함에 있어 깊은 計劃과 論議를 하면서 準備가 함께 이루어 지고 있음을 意味한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것을 ‘미리 마련해 갖추어 놓는다’는 뜻의 準備와는 엄연히 區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討 伐 이규 2013.03.17 1462
383 颱 風 이규 2013.07.12 1463
382 民心 이규 2012.12.09 1464
381 沐猴而冠 셀라비 2013.03.26 1464
380 侍 墓 이규 2013.06.21 1465
379 北上南下 이규 2012.11.04 1469
378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470
377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470
376 九牛一毛 이규 2013.06.11 1471
375 似而非 이규 2013.03.21 1473
374 人質 이규 2012.12.27 1474
373 謁聖及第 이규 2013.03.12 1477
372 戰 國 이규 2013.06.09 1477
» 籌備 이규 2012.12.28 1479
370 矛 盾 셀라비 2014.08.19 1482
369 頭 角 이규 2013.06.07 1483
368 西 方 이규 2013.05.23 1487
367 高枕無憂 이규 2013.02.22 1493
366 擧足輕重 이규 2013.03.01 1494
365 名分 이규 2013.02.11 14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