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69
어제:
1,101
전체:
763,672

籌備

2012.12.28 19:56

이규 조회 수:1512


籌 산가지 주
備 갖출 비


籌備-요모조모 꾀하여 갖추다


籌는 ‘수명{壽}을 判別하는 대나무{竹}’로 옛날 占과 關係가 있다.  初期에는 거북 껍질을 불에 달군 송곳으로 뚫어 나타나는 금으로 吉凶을 점쳤는데 이것이 占 또는 占卜을 意味한다.  그러나 後에 오면 풀이나 대나무를 使用했는데 각기 시초(蓍草)와 籌라고 했다.  그러니까 籌는 占을 쳤던 길게 자란 대나무란 뜻이 된다.  後에 셈하는 데에도 使用돼 ‘산 가지’라고도 하는데 지금도 점쟁이들이 算筒에 산가지를 넣어 占을 치곤 했다.
  占을 보든, 셈을 하든 ‘헤아리는 것’은 같다.  그래서 籌는 ‘헤아리다’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주책(籌策-생각해 본 끝에 나온 꾀나 策略), 籌板(珠板이라고도 함)이 있다.
  備는 사람이 무기고(庫)를 지키고 있는 모습으로 侵掠이나 掠奪에 對備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따라서 ‘準備’, ‘對備’, ‘갖추다’는 뜻을 갖게 됐다.  備忘錄, 備品, 警備, 防備가 있다.
  곧 籌備라면 ‘요모조모 꾀하여 갖춘다’는 뜻이다.  여기에는 深思熟考가 介入돼 있음을 알 수 있다.  곧 어떤 일을 꾀함에 있어 깊은 計劃과 論議를 하면서 準備가 함께 이루어 지고 있음을 意味한다.  따라서 단순히 어떤 것을 ‘미리 마련해 갖추어 놓는다’는 뜻의 準備와는 엄연히 區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39
163 破 格 이규 2013.10.07 1841
162 效 嚬 셀라비 2013.10.24 1842
161 破 綻 셀라비 2014.02.28 1851
160 妄 言 이규 2013.09.20 1852
159 鴛 鴦 이규 2013.12.01 1854
158 結者解之 셀라비 2014.12.05 1857
157 拍 車 셀라비 2013.12.19 1863
156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65
155 家 庭 이규 2013.07.25 1866
154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66
153 老馬之智 셀라비 2014.06.21 1867
152 春困症 이규 2013.07.27 1873
151 瓦 解 이규 2013.08.18 1873
150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73
149 壓 卷 이규 2013.11.18 1879
148 中 國 이규 2013.09.03 1880
147 骨董品 셀라비 2014.03.01 1886
146 選 良 이규 2013.08.07 1888
145 大議滅親 이규 2013.09.09 1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