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00
어제:
1,101
전체:
763,403

한자 駭怪罔測

2013.08.04 19:25

셀라비 조회 수:2153


駭놀랄해
怪괴이할괴
罔없을망
測헤아릴측


 워낙 고약하여 헤아릴 수가 없음

 


  駭怪는 말(馬)․돼지(亥)가 怪異한 것을 보고 놀란다는 뜻이며, 罔은 그물속의 사냥감이 달아났다(亡)는 뜻이다.  그래서 ‘없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곧 罔測은 ‘理致에 맞지 않아 헤아릴 수가 없다’가 돼 駭怪罔測은 ‘어찌나 놀랍고도 고약한지 상식적으로 도무지 요량(料量)할 수 없다’는 뜻이 된다.
  人間의 行動을 制約하는 것에는 常識도 있다.  그래서 常識과 배치(背馳)되는 言行은 ‘異常’으로 비치게 된다.  그러나 ‘異常’의 정도를 넘어 아예 常識이 存在하지 않는 ‘沒常識’의 地境에 이르게 되면 駭怪해질 수 밖에 없다.
  기유차리(豈有此理)란 말도 있다.  우리말로 하면 “어째 이런 일이 …”다.  다리가 무너져내리는가 하면 가스관이 爆發하고 殺父 事件이 꼬리를 물었다.  그런데 올해에는 駭怪罔測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北韓이 潛水艦으로 武裝共匪를 보내 良民을 虐殺해 놓고도 ‘造作劇’이라고 뒤집어 씌우면서 ‘報復’을 공갈(恐喝)하니 말이다.  歪曲과 날조(捏造)의 極을 보는 느낌이다.
  쌀을 보내주니까 間諜으로 갚더니 이번엔 아예 武裝共匪로 報答해 왔다.  背恩忘德을 넘어 ‘以怨報德(덕을 원한으로 갚음)’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앞서 보았던 ‘宋襄之仁’은 ‘쓸데 없는 관용’을 뜻한다고 했다.  이제 政府의 政策에도 變化가 있을 模樣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4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47
383 發祥地 이규 2013.10.20 1947
382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46
381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40
380 至孝 이규 2012.10.29 1940
379 狐假虎威 이규 2013.10.11 1935
378 快 擧 이규 2013.07.21 1935
377 犬馬之勞 셀라비 2014.12.03 1933
376 賞 春 이규 2013.08.15 1932
375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29
374 七縱七擒 이규 2013.06.06 1926
373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24
372 景福宮 셀라비 2012.10.28 1914
371 季札掛劍 셀라비 2014.12.28 1912
370 伏地不動 셀라비 2013.10.30 1912
369 沐浴 [1] 이규 2013.04.08 1910
368 奇貨可居 이규 2013.04.29 1905
367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04
366 標 榜 이규 2013.08.10 1903
365 執牛耳 이규 2013.11.15 1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