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108
어제:
1,186
전체:
764,797

한자 庭 訓

2014.01.03 21:42

이규 조회 수:1768

庭 訓

곧을

가르칠

 

 

뜰에서 가르치거나 가르침을 받음

 

 

정훈庭訓 뜰에서 가르친다거나 가르침을 받는다는 뜻이다그러니까 父母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경우가 되겠다貴族 專有物이었던 敎育 平民에게까지擴大 이는 공자孔子였다그의 뜻을 繼承 맹자孟子역시 敎育 매우重視했으며 「敎育이라는 말이 그로부터 나왔다현재  3국의 敎育熱 높은 것도  孔子 孟子와 관계가 있다

 孔子 敎育 임했던 原則 하나 있었다유교무류有敎無類), 열심히 가르치되 差別 두지 않는 것이었다심지어 그는 自己 아들조차 一般 弟子 다름없이 가르쳤다그의 弟子중에 진항陳亢 있었다그는 스승께서 當身 아들인 백어伯魚만은 남다르게 가르쳤을 거라고 여기고 있었다그래서伯魚에게 물어 보았다

스승으로부터 특별한 가르침이라도 받은  있소?』 『아니오, 그저 뜰에 앉아 계실   앞을 지나가는데 불러 세우시고는 시  强調했을 뿐입니다.』 意外 對答 듣고 陳亢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공연히 疑心 품었던 자신이 부끄러울 뿐이었다孔子有敎無類精神 아들이라고例外 없었던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4 報勳 이규 2013.07.14 1754
283 蹴 鞠 이규 2013.07.16 2076
282 窮鼠齧猫 이규 2013.07.17 1585
281 黃 砂 이규 2013.07.18 1865
280 嘗 糞 이규 2013.07.19 1797
279 快 擧 이규 2013.07.21 2006
278 歸 順 이규 2013.07.23 1912
277 誣 告 이규 2013.07.24 1978
276 家 庭 이규 2013.07.25 1885
275 春困症 이규 2013.07.27 1896
274 郊 外 이규 2013.07.28 2144
273 人 倫 이규 2013.07.29 2035
272 諮 問 이규 2013.07.31 1759
271 臨 終 이규 2013.08.01 2114
270 花 信 셀라비 2013.08.02 1928
269 苦 杯 이규 2013.08.03 2020
268 駭怪罔測 셀라비 2013.08.04 2226
267 會 計 이규 2013.08.05 1863
266 選 良 이규 2013.08.07 1915
265 櫛 比 이규 2013.08.08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