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38
어제:
783
전체:
770,098

洛陽紙貴

2012.12.23 12:41

홍석균 조회 수:3069

洛(서울이름 락)陽(양기 양)紙(종이 지)貴(귀할 귀)
낙양의 종이값이 올랐다는 뜻으로, 저서가 많이 팔렸을 경우 인용되는 말이다.


춘추 시대 진나라의 유명한 시인이던 좌사는 제나라 서울 임치 출신으로서, 가난뱅이인데다 교제도 낮고 생김새도
추했지만 문장 하나는 탁월했다.
그는 일 년간 고심하여 제도부를 썼는데, 이것은 자기 출신지인 제나라 서울의 사물에 관한 내용의 작품이었다.
흡족한 그는 계속해서 삼도부를 쓰기로 작정했다.
삼도란 삼국 시대의 위나라 서울 업, 촉나라 서울 성도, 그리고 오나라 서울 건업을 뜻했다.
그가 작품 구상에 한창일 때, 누이가 갑자기 궁중으로 불려 올라가게 되었다.
그도 함께 서울인 낙양으로 이사했고, 뛰어난 문사가 기라성처럼 많은 중앙 무대의 분위기에 자극을 받았지만 집필 작업은
지지부진했다.
"내 공부가 부족한 탓이야!"
이렇게 절감한 좌사는 스스로 비서랑이 되어 궁중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문헌을 읽어 학문적 시야를 넓혔다.
그런 각고의 노력 끝에 드디어 십 년 만에 삼도부를 완성했건만, 처음에는 작품의 진가를 알아 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던 어느 날, 사공 장화가 좌사의 집에 찾아왔다.
장화는 이런저런 이야기 끝에 말했다.
"참 듣자니까 오래 공을 들인 작품을 최근에 완성했다지요?"
"그렇습니다."
"어디 내가 한번 봐도 괜찮겠소?"
"글쎄요, 변변찮은 작품이어서..."
좌사는 선뜻 내키지 않는 데도 삼도부를 장화한테 보여 주었다.
중앙 문단에서 이름을 날리는 시인이기도 한 장화는 삼도부를 읽어 보고 격찬해 마지않았다.
"아니, 이런 훌륭한 작품을 가지고 무슨 당찮은 겸양이오.
내가 보기엔 반고나 장형을 능가하고 있소이다."
반고와 장형은 한나라 때 사람으로서, 반고는 양도부, 장형은 이경부라는 작품으로 유명한 대시인이었다.
그런 사람들의 작품을 뛰어넘었다는 장화의 극찬은 금방 화제가 되었고, 글을 읽는다는 사람들은 지식인 반열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앞다투어 삼도부를 베껴다 읽었다.
그 바람에 낙양 안의 종이가 갑자기 동이 나서 종이값이 폭등하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던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신궁이 되는 비결 셀라비 2014.10.01 84673
137 LeeKyoo 2024.01.22 1186
136 선과 악 LeeKyoo 2023.12.09 1162
135 상처 LeeKyoo 2024.01.12 1157
134 기억 LeeKyoo 2024.02.01 1156
133 위험을 회피하는 것이 가장 큰 위험이다 LeeKyoo 2023.11.01 1154
132 초심 LeeKyoo 2023.11.24 1152
131 미소 LeeKyoo 2024.03.10 1147
130 행복 LeeKyoo 2023.12.05 1138
129 오류 LeeKyoo 2023.11.25 1138
128 변화 LeeKyoo 2024.02.04 1130
127 LeeKyoo 2024.01.26 1130
126 축복 LeeKyoo 2024.01.09 1125
125 연극 LeeKyoo 2024.01.27 1124
124 마음 LeeKyoo 2023.12.16 1122
123 떡잎 LeeKyoo 2024.01.15 1119
122 행복 LeeKyoo 2023.12.13 1119
121 기쁨 LeeKyoo 2024.01.24 1117
120 좋은 말 LeeKyoo 2024.01.04 1115
119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라 LeeKyoo 2023.10.24 1113
118 LeeKyoo 2024.01.17 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