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92
어제:
264
전체:
768,480

不惑

2012.12.17 21:33

이규 조회 수:1683

不아닐 불
惑유혹할 혹

 

不惑-유혹에 흔들리지 않을 마흔살의 나이

 

惑은 心과 或의 結合이며 或(혹)은 창을 가지고 사람(口)과 땅(一-지평선)을 지킨다는 뜻이다.  곧 一定한 地域에 사람이 살고 있고 땅을 耕作하는데 盜賊이나 猛獸로 부터 이를 保護하기 위해 武器를 가지고 防禦하는 組織이 或이다.
  그런데 아주 옛날, 사람은 적고 땅은 넓었으므로 土地 所有 觀念이 稀薄했다.  그래서 한 곳에 定着하기 보다 이곳 저곳을 옮겨다니며 살았다.  여기에서 或은 移動, 變化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後에 오면 所有觀念이 생기게 되어 自己 所有의 田畓을 表示하게 된다.  田畓은 땅을 뜻하므로 或에 土를 덧붙여 域자가 나오게 되었으며 四方 一定한 경계(口)를 표시한 것이 國이다.
  惑은 마음(心)이 이리저리 옮겨 다닌다(或)는 뜻이다.  뚜렷한 主見없이 쉽게 마음이 홀리는 것을 뜻한다.  魅惑(매혹), 誘惑(유혹), 疑惑(의혹), 眩惑(현혹), 惑世誣民(혹세무민)이 있다.  따라서 不惑은 ‘홀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論語]에 보면 孔子가 自身의 人生에 대해 述懷(술회)한 대목이 보인다.  곧 나이 열다섯이 되어 學文에 뜻을 두고, 서른에 제대로 서게 되었으며, 마흔에 眩惑되지 않았고(不惑), 쉰에 天命을 알았고, 예순에 귀가 트여 남의 말을 분별할 수 있었고, 일흔에 마음대로 行動해도 法度를 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不惑은 나이 ‘마흔살’을 뜻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紛 糾 이규 2013.09.25 2140
403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2131
402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31
401 持 滿 이규 2013.11.28 2129
400 杜鵑 이규 2013.03.20 2129
399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2124
398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2123
397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2121
396 천둥벌거숭이 셀라비 2015.05.02 2119
395 千字文 이규 2013.10.12 2118
394 問 鼎 이규 2013.11.23 2118
393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2111
3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2108
391 人 倫 이규 2013.07.29 2107
390 사리 셀라비 2015.04.18 2102
389 改 閣 이규 2013.08.26 2099
388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2092
387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2087
386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2084
385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2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