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83
어제:
776
전체:
770,919

不惑

2012.12.17 21:33

이규 조회 수:1728

不아닐 불
惑유혹할 혹

 

不惑-유혹에 흔들리지 않을 마흔살의 나이

 

惑은 心과 或의 結合이며 或(혹)은 창을 가지고 사람(口)과 땅(一-지평선)을 지킨다는 뜻이다.  곧 一定한 地域에 사람이 살고 있고 땅을 耕作하는데 盜賊이나 猛獸로 부터 이를 保護하기 위해 武器를 가지고 防禦하는 組織이 或이다.
  그런데 아주 옛날, 사람은 적고 땅은 넓었으므로 土地 所有 觀念이 稀薄했다.  그래서 한 곳에 定着하기 보다 이곳 저곳을 옮겨다니며 살았다.  여기에서 或은 移動, 變化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後에 오면 所有觀念이 생기게 되어 自己 所有의 田畓을 表示하게 된다.  田畓은 땅을 뜻하므로 或에 土를 덧붙여 域자가 나오게 되었으며 四方 一定한 경계(口)를 표시한 것이 國이다.
  惑은 마음(心)이 이리저리 옮겨 다닌다(或)는 뜻이다.  뚜렷한 主見없이 쉽게 마음이 홀리는 것을 뜻한다.  魅惑(매혹), 誘惑(유혹), 疑惑(의혹), 眩惑(현혹), 惑世誣民(혹세무민)이 있다.  따라서 不惑은 ‘홀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論語]에 보면 孔子가 自身의 人生에 대해 述懷(술회)한 대목이 보인다.  곧 나이 열다섯이 되어 學文에 뜻을 두고, 서른에 제대로 서게 되었으며, 마흔에 眩惑되지 않았고(不惑), 쉰에 天命을 알았고, 예순에 귀가 트여 남의 말을 분별할 수 있었고, 일흔에 마음대로 行動해도 法度를 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不惑은 나이 ‘마흔살’을 뜻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4 不俱戴天 이규 2013.04.30 1471
343 覆水難收 이규 2013.05.02 1413
342 曲肱之樂 이규 2013.05.03 3342
341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803
340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557
339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295
338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345
337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837
336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547
335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2061
334 關 鍵 이규 2013.05.14 1638
333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508
332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473
331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605
330 干 支 이규 2013.05.19 1421
329 分 野 이규 2013.05.20 1414
328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570
327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363
326 西 方 이규 2013.05.23 1614
325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