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783
어제:
1,101
전체:
763,286

不惑

2012.12.17 21:33

이규 조회 수:1581

不아닐 불
惑유혹할 혹

 

不惑-유혹에 흔들리지 않을 마흔살의 나이

 

惑은 心과 或의 結合이며 或(혹)은 창을 가지고 사람(口)과 땅(一-지평선)을 지킨다는 뜻이다.  곧 一定한 地域에 사람이 살고 있고 땅을 耕作하는데 盜賊이나 猛獸로 부터 이를 保護하기 위해 武器를 가지고 防禦하는 組織이 或이다.
  그런데 아주 옛날, 사람은 적고 땅은 넓었으므로 土地 所有 觀念이 稀薄했다.  그래서 한 곳에 定着하기 보다 이곳 저곳을 옮겨다니며 살았다.  여기에서 或은 移動, 變化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後에 오면 所有觀念이 생기게 되어 自己 所有의 田畓을 表示하게 된다.  田畓은 땅을 뜻하므로 或에 土를 덧붙여 域자가 나오게 되었으며 四方 一定한 경계(口)를 표시한 것이 國이다.
  惑은 마음(心)이 이리저리 옮겨 다닌다(或)는 뜻이다.  뚜렷한 主見없이 쉽게 마음이 홀리는 것을 뜻한다.  魅惑(매혹), 誘惑(유혹), 疑惑(의혹), 眩惑(현혹), 惑世誣民(혹세무민)이 있다.  따라서 不惑은 ‘홀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論語]에 보면 孔子가 自身의 人生에 대해 述懷(술회)한 대목이 보인다.  곧 나이 열다섯이 되어 學文에 뜻을 두고, 서른에 제대로 서게 되었으며, 마흔에 眩惑되지 않았고(不惑), 쉰에 天命을 알았고, 예순에 귀가 트여 남의 말을 분별할 수 있었고, 일흔에 마음대로 行動해도 法度를 넘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不惑은 나이 ‘마흔살’을 뜻하게 되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1938
103 개개다(개기다) 셀라비 2015.03.27 1939
102 靑 春 [1] 셀라비 2014.04.28 1941
101 發祥地 이규 2013.10.20 1942
100 三寸舌 셀라비 2014.01.24 1944
99 改 閣 이규 2013.08.26 1947
98 問 鼎 이규 2013.11.23 1956
97 高麗公事三日 셀라비 2015.04.02 1957
96 危機一髮 이규 2013.10.18 1959
95 人 倫 이규 2013.07.29 1960
94 孤軍奮鬪 셀라비 2015.03.27 1960
93 苦 杯 이규 2013.08.03 1961
92 文 獻 셀라비 2014.03.03 1973
91 사리 셀라비 2015.04.18 1973
90 泣斬馬謖 이규 2013.10.28 1976
89 犬馬之養 셀라비 2014.12.04 1979
88 鷄鳴狗盜 셀라비 2014.12.19 1989
87 千字文 이규 2013.10.12 1994
86 犬馬之心 이규 2013.09.27 1999
85 兼人之勇 셀라비 2014.12.08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