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83
어제:
257
전체:
762,485

한자 苦 杯

2013.08.03 21:28

이규 조회 수:1944


苦쓸고
杯잔배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비유

 


 苦는 초(草)가 있으므로 「풀」의 一種임을 알 수 있다.  우리말로는 「씀바귀」라고 한다. 전국 어느 들에서나 볼 수 있는데 냉이와 함께 이른 봄 캐어 먹는 대표적인 봄나물이다.  맛이 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그 쓴맛 때문에 씀바귀는 漢方에서 藥用으로 使用된다. 대체로 해열(解熱)과 소종(消腫,종기를 없앰)․생기(生肌,새 살을 돋게 함)에 좋다고 한다. 따라서 苦는 「씀바귀」에서 「쓴맛」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쓴맛을 좋아할 사람은 별로 없다. 또 먹기가 워낙 힘들고 괴로웠으므로 「괴롭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고뇌(苦惱)니 고락(苦樂)․고역(苦役)․고육책(苦肉策)․고통(苦痛)은그런 뜻을 담고 있다. 또 쓴맛의 反對가 단맛이므로 감언(甘言)의 反對는 고언(苦言)인 셈이다.
 杯는 목(木)과 불(不)의 結合이나 본디는 비(否)의 結合으로 木은 材料, 否는 소리값이다. 곧 나무로 만든「술잔」 이 되겠다. 參考로 「술잔」을 뜻하는 漢字는 많다.  盃는 杯의 속자(俗字)며, 잔(盞)은 낮고 작은 잔,상(觴)은 물소나 쇠뿔로 만든 잔,작(爵)은 쇠로 만든 발 달린 술잔인데 보통 한되들이 정도의 큰 잔이다.
  苦杯라면 「쓴 잔」으로 쓴 약이나 독한 술이 들어있는 잔이다.  그런 만큼마시기가 여간 고통스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苦杯는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뜻하게 되었다.  물론 그 反對는 축배(祝杯)가 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788
40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30
40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786
40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14
40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378
39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30
39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00
39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779
39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484
39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21
3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27
39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382
39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470
391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691
390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586
38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13
38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669
387 杜 撰 셀라비 2014.07.10 1592
38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09
385 投 抒 셀라비 2014.07.03 1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