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488
어제:
1,101
전체:
762,991

한자 苦 杯

2013.08.03 21:28

이규 조회 수:1955


苦쓸고
杯잔배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비유

 


 苦는 초(草)가 있으므로 「풀」의 一種임을 알 수 있다.  우리말로는 「씀바귀」라고 한다. 전국 어느 들에서나 볼 수 있는데 냉이와 함께 이른 봄 캐어 먹는 대표적인 봄나물이다.  맛이 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그 쓴맛 때문에 씀바귀는 漢方에서 藥用으로 使用된다. 대체로 해열(解熱)과 소종(消腫,종기를 없앰)․생기(生肌,새 살을 돋게 함)에 좋다고 한다. 따라서 苦는 「씀바귀」에서 「쓴맛」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쓴맛을 좋아할 사람은 별로 없다. 또 먹기가 워낙 힘들고 괴로웠으므로 「괴롭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고뇌(苦惱)니 고락(苦樂)․고역(苦役)․고육책(苦肉策)․고통(苦痛)은그런 뜻을 담고 있다. 또 쓴맛의 反對가 단맛이므로 감언(甘言)의 反對는 고언(苦言)인 셈이다.
 杯는 목(木)과 불(不)의 結合이나 본디는 비(否)의 結合으로 木은 材料, 否는 소리값이다. 곧 나무로 만든「술잔」 이 되겠다. 參考로 「술잔」을 뜻하는 漢字는 많다.  盃는 杯의 속자(俗字)며, 잔(盞)은 낮고 작은 잔,상(觴)은 물소나 쇠뿔로 만든 잔,작(爵)은 쇠로 만든 발 달린 술잔인데 보통 한되들이 정도의 큰 잔이다.
  苦杯라면 「쓴 잔」으로 쓴 약이나 독한 술이 들어있는 잔이다.  그런 만큼마시기가 여간 고통스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苦杯는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뜻하게 되었다.  물론 그 反對는 축배(祝杯)가 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4 露 骨 이규 2013.05.29 1230
163 淘 汰 이규 2013.05.28 1563
162 鷄鳴拘盜 이규 2013.05.27 1605
161 百年河淸 이규 2013.05.26 1387
160 亡牛補牢 이규 2013.05.24 1333
159 西 方 이규 2013.05.23 1490
158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47
157 他山之石 이규 2013.05.21 1431
156 分 野 이규 2013.05.20 1301
155 干 支 이규 2013.05.19 1299
154 白髮三千丈 이규 2013.05.17 1454
153 刮目相對 이규 2013.05.16 1361
152 喪家之狗 이규 2013.05.15 1367
151 關 鍵 이규 2013.05.14 1528
150 尾生之信 이규 2013.05.13 1915
149 匹夫之勇 이규 2013.05.11 1427
148 水落石出 이규 2013.05.10 1692
147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38
146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72
145 應接不暇 이규 2013.05.08 1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