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84
어제:
305
전체:
766,517

한자 苦 杯

2013.08.03 21:28

이규 조회 수:2041


苦쓸고
杯잔배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비유

 


 苦는 초(草)가 있으므로 「풀」의 一種임을 알 수 있다.  우리말로는 「씀바귀」라고 한다. 전국 어느 들에서나 볼 수 있는데 냉이와 함께 이른 봄 캐어 먹는 대표적인 봄나물이다.  맛이 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그 쓴맛 때문에 씀바귀는 漢方에서 藥用으로 使用된다. 대체로 해열(解熱)과 소종(消腫,종기를 없앰)․생기(生肌,새 살을 돋게 함)에 좋다고 한다. 따라서 苦는 「씀바귀」에서 「쓴맛」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쓴맛을 좋아할 사람은 별로 없다. 또 먹기가 워낙 힘들고 괴로웠으므로 「괴롭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고뇌(苦惱)니 고락(苦樂)․고역(苦役)․고육책(苦肉策)․고통(苦痛)은그런 뜻을 담고 있다. 또 쓴맛의 反對가 단맛이므로 감언(甘言)의 反對는 고언(苦言)인 셈이다.
 杯는 목(木)과 불(不)의 結合이나 본디는 비(否)의 結合으로 木은 材料, 否는 소리값이다. 곧 나무로 만든「술잔」 이 되겠다. 參考로 「술잔」을 뜻하는 漢字는 많다.  盃는 杯의 속자(俗字)며, 잔(盞)은 낮고 작은 잔,상(觴)은 물소나 쇠뿔로 만든 잔,작(爵)은 쇠로 만든 발 달린 술잔인데 보통 한되들이 정도의 큰 잔이다.
  苦杯라면 「쓴 잔」으로 쓴 약이나 독한 술이 들어있는 잔이다.  그런 만큼마시기가 여간 고통스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苦杯는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뜻하게 되었다.  물론 그 反對는 축배(祝杯)가 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如意 이규 2012.12.04 3234
443 焦眉 이규 2012.12.05 1642
442 奇蹟 이규 2012.12.06 1964
441 覇權 이규 2012.12.08 1219
440 한자어의 연관성(聯關性) [2] 이규 2012.12.08 2101
439 성어(成語),고사(故事) 이규 2012.12.08 1994
438 民心 이규 2012.12.09 1532
437 同盟 이규 2012.12.10 1415
436 賂物 이규 2012.12.11 1463
435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653
434 電擊 이규 2012.12.13 1197
433 兩立 이규 2012.12.13 1524
432 不惑 이규 2012.12.17 1651
431 犧牲 이규 2012.12.18 1334
430 管轄 이규 2012.12.20 1629
429 氾濫 이규 2012.12.26 1438
428 人質 이규 2012.12.27 1555
427 籌備 이규 2012.12.28 1572
426 憲法 이규 2012.12.29 1188
425 自暴自棄 이규 2013.01.01 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