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79
어제:
1,101
전체:
763,482

한자 苦 杯

2013.08.03 21:28

이규 조회 수:1975


苦쓸고
杯잔배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비유

 


 苦는 초(草)가 있으므로 「풀」의 一種임을 알 수 있다.  우리말로는 「씀바귀」라고 한다. 전국 어느 들에서나 볼 수 있는데 냉이와 함께 이른 봄 캐어 먹는 대표적인 봄나물이다.  맛이 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그 쓴맛 때문에 씀바귀는 漢方에서 藥用으로 使用된다. 대체로 해열(解熱)과 소종(消腫,종기를 없앰)․생기(生肌,새 살을 돋게 함)에 좋다고 한다. 따라서 苦는 「씀바귀」에서 「쓴맛」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쓴맛을 좋아할 사람은 별로 없다. 또 먹기가 워낙 힘들고 괴로웠으므로 「괴롭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고뇌(苦惱)니 고락(苦樂)․고역(苦役)․고육책(苦肉策)․고통(苦痛)은그런 뜻을 담고 있다. 또 쓴맛의 反對가 단맛이므로 감언(甘言)의 反對는 고언(苦言)인 셈이다.
 杯는 목(木)과 불(不)의 結合이나 본디는 비(否)의 結合으로 木은 材料, 否는 소리값이다. 곧 나무로 만든「술잔」 이 되겠다. 參考로 「술잔」을 뜻하는 漢字는 많다.  盃는 杯의 속자(俗字)며, 잔(盞)은 낮고 작은 잔,상(觴)은 물소나 쇠뿔로 만든 잔,작(爵)은 쇠로 만든 발 달린 술잔인데 보통 한되들이 정도의 큰 잔이다.
  苦杯라면 「쓴 잔」으로 쓴 약이나 독한 술이 들어있는 잔이다.  그런 만큼마시기가 여간 고통스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苦杯는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뜻하게 되었다.  물론 그 反對는 축배(祝杯)가 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左遷 이규 2013.01.17 1127
463 野壇法席 이규 2012.11.22 1128
462 蠶室 이규 2013.01.05 1129
461 憲法 이규 2012.12.29 1134
460 變姓名 이규 2013.01.22 1139
459 葡萄 이규 2013.01.09 1146
458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154
457 覇權 이규 2012.12.08 1176
456 汚染 이규 2013.01.24 1186
455 輾轉反側 이규 2013.05.08 1189
454 鳩首會議 이규 2013.01.21 1198
453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24
452 窈窕淑女 이규 2013.03.19 1237
451 露 骨 이규 2013.05.29 1241
450 指鹿爲馬 이규 2013.05.09 1258
449 骨肉相爭 이규 2013.05.22 1264
448 犧牲 이규 2012.12.18 1277
447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284
446 飜覆 이규 2013.01.29 1296
445 反哺之孝 이규 2012.11.02 1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