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91
어제:
305
전체:
766,524

한자 苦 杯

2013.08.03 21:28

이규 조회 수:2043


苦쓸고
杯잔배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비유

 


 苦는 초(草)가 있으므로 「풀」의 一種임을 알 수 있다.  우리말로는 「씀바귀」라고 한다. 전국 어느 들에서나 볼 수 있는데 냉이와 함께 이른 봄 캐어 먹는 대표적인 봄나물이다.  맛이 쓴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그 쓴맛 때문에 씀바귀는 漢方에서 藥用으로 使用된다. 대체로 해열(解熱)과 소종(消腫,종기를 없앰)․생기(生肌,새 살을 돋게 함)에 좋다고 한다. 따라서 苦는 「씀바귀」에서 「쓴맛」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쓴맛을 좋아할 사람은 별로 없다. 또 먹기가 워낙 힘들고 괴로웠으므로 「괴롭다」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고뇌(苦惱)니 고락(苦樂)․고역(苦役)․고육책(苦肉策)․고통(苦痛)은그런 뜻을 담고 있다. 또 쓴맛의 反對가 단맛이므로 감언(甘言)의 反對는 고언(苦言)인 셈이다.
 杯는 목(木)과 불(不)의 結合이나 본디는 비(否)의 結合으로 木은 材料, 否는 소리값이다. 곧 나무로 만든「술잔」 이 되겠다. 參考로 「술잔」을 뜻하는 漢字는 많다.  盃는 杯의 속자(俗字)며, 잔(盞)은 낮고 작은 잔,상(觴)은 물소나 쇠뿔로 만든 잔,작(爵)은 쇠로 만든 발 달린 술잔인데 보통 한되들이 정도의 큰 잔이다.
  苦杯라면 「쓴 잔」으로 쓴 약이나 독한 술이 들어있는 잔이다.  그런 만큼마시기가 여간 고통스럽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苦杯는 「쓰라린 고통이나 경험」을 뜻하게 되었다.  물론 그 反對는 축배(祝杯)가 되겠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端午 이규 2012.11.18 1140
463 封套 이규 2012.11.19 1516
462 一字千金 이규 2012.11.20 1131
461 以卵投石 이규 2012.11.21 1110
460 野壇法席 이규 2012.11.22 1181
459 蝸角之爭 이규 2012.11.23 1209
458 Ⅰ. 한자어의 이해 이규 2012.11.23 1802
457 破廉恥 이규 2012.11.24 1673
456 한자어의 짜임 - 병렬관계 이규 2012.11.24 2410
455 한자어의 짜임 - 수식 관계 이규 2012.11.25 2046
454 戰戰兢兢 이규 2012.11.25 1142
453 囊中之錐 이규 2012.11.26 1513
452 한자어의 짜임 - 주술 관계 이규 2012.11.26 2242
451 明鏡止水 이규 2012.11.27 1338
450 千慮一得 이규 2012.11.28 1269
449 高枕而臥 이규 2012.11.30 1547
448 燕雀鴻鵠 이규 2012.12.01 1378
447 妥結 이규 2012.12.02 1512
446 文化 이규 2012.12.03 1676
445 한자어의 짜임 - 술목, 술보관계 이규 2012.12.03 38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