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1,056
어제:
1,101
전체:
763,559

한자 獨 對

2013.12.08 19:46

이규 조회 수:1816

獨 對

홀로

대답할

 

 

왕과 신하가 단둘이 만나던데서

유래

 

 

이 들어있는 漢字는 모두 짐승이나 짐승의 性質關係가 있다. (여우 호)(개 구)(미칠 광)(사나울 맹).()(해바라기 벌레)과 같은 개()또는 동물이라는 뜻이다.一種의 들개로 먹이를독차지한다.그래서 은 짐승 이름이자 홀로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는 나무조각(에서 이 생략됨)을 쥐고 있는 손()臣下가 임금을 알현(謁見)하기 위해 홀()을 쥐고 있는 모습이다.그래서 대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본디 독대(獨對)라면 臣下단둘이 만나는 것을 말했다.물론 그리떳떳한 것은 아니었다.그래서 朝鮮時代에는 國法으로 하기도 했다.은밀히 만난다는 것 자체가 뭔가 구린 데가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國家重要 大事라면 獨對를 못할 것도 없다.

효종(孝宗)이 북벌(北伐)하기 위해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獨對한 것은 有名하다.사관(史官)과 승지(承旨)까지도 내보낸 채 이뤄진 獨對制度的으로 禁止되어 있었던 것으로 매우 異例的인 것이었다.요즘 大統領野黨總務獨對했다하여 말이 많다.國政에 관해서 무슨 緊要한 이야기가 오갔는지 모르겠지만 異例的인 것만은 틀림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4 採薇歌 셀라비 2014.09.14 1821
403 鐵面皮 셀라비 2014.09.12 1460
402 靑出於藍 셀라비 2014.09.01 1844
401 疑心暗鬼 셀라비 2014.08.31 1964
400 枕流漱石 셀라비 2014.08.30 1416
399 要領不得 셀라비 2014.08.28 1481
398 壽則多辱 셀라비 2014.08.21 1530
397 玉石混淆 셀라비 2014.08.20 1819
396 矛 盾 셀라비 2014.08.19 1525
395 麥秀之嘆 셀라비 2014.08.17 1859
394 泰山北斗 셀라비 2014.08.16 1769
393 亡國之音 셀라비 2014.08.15 1414
392 偕老同穴 이규 2014.08.12 1508
391 螢雪之功 셀라비 2014.07.23 1721
390 華胥之夢 셀라비 2014.07.22 1630
389 輓 歌 셀라비 2014.07.15 1851
388 得壟望蜀 셀라비 2014.07.14 1713
387 杜 撰 셀라비 2014.07.10 1633
386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645
385 投 抒 셀라비 2014.07.03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