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954
어제:
1,101
전체:
763,457

한자 獨 對

2013.12.08 19:46

이규 조회 수:1800

獨 對

홀로

대답할

 

 

왕과 신하가 단둘이 만나던데서

유래

 

 

이 들어있는 漢字는 모두 짐승이나 짐승의 性質關係가 있다. (여우 호)(개 구)(미칠 광)(사나울 맹).()(해바라기 벌레)과 같은 개()또는 동물이라는 뜻이다.一種의 들개로 먹이를독차지한다.그래서 은 짐승 이름이자 홀로라는 뜻도 가지게 되었다.

는 나무조각(에서 이 생략됨)을 쥐고 있는 손()臣下가 임금을 알현(謁見)하기 위해 홀()을 쥐고 있는 모습이다.그래서 대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본디 독대(獨對)라면 臣下단둘이 만나는 것을 말했다.물론 그리떳떳한 것은 아니었다.그래서 朝鮮時代에는 國法으로 하기도 했다.은밀히 만난다는 것 자체가 뭔가 구린 데가 있기 때문이다.그러나 國家重要 大事라면 獨對를 못할 것도 없다.

효종(孝宗)이 북벌(北伐)하기 위해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獨對한 것은 有名하다.사관(史官)과 승지(承旨)까지도 내보낸 채 이뤄진 獨對制度的으로 禁止되어 있었던 것으로 매우 異例的인 것이었다.요즘 大統領野黨總務獨對했다하여 말이 많다.國政에 관해서 무슨 緊要한 이야기가 오갔는지 모르겠지만 異例的인 것만은 틀림없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24 凱 旋 yikyoo 2014.06.11 1586
323 淘 汰 이규 2013.05.28 1587
322 家 臣 셀라비 2014.02.24 1587
321 錦衣夜行 셀라비 2014.06.02 1589
320 不惑 이규 2012.12.17 1590
319 破廉恥 이규 2012.11.24 1591
318 街談港說 이규 2012.12.11 1592
317 師表 이규 2013.02.04 1592
316 獅子喉 이규 2013.02.12 1593
315 文化 이규 2012.12.03 1595
314 復舊 이규 2012.11.05 1597
313 膺懲 이규 2013.02.18 1597
312 誘 致 이규 2013.06.17 1597
311 陳 情 이규 2013.06.23 1601
310 公 約 셀라비 2014.05.27 1601
309 長頸烏喙 이규 2013.05.30 1602
308 街談港說 셀라비 2013.10.20 1606
307 騎虎之勢 이규 2013.04.01 1608
306 感慨無量 셀라비 2014.11.25 1608
305 猶 豫 셀라비 2014.04.23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