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TOLAND

한국어

Knowledge

오늘:
279
어제:
286
전체:
767,113

焦眉

2012.12.05 20:08

이규 조회 수:1652

焦眉

 

焦 태울 초
眉 눈썹 미

 

焦眉-눈썹이 타들어가는 다급한 상황


焦는 새둥지 밑에 불이 타고 있는 形狀으로 ‘태우다’, ‘다급하다’는 뜻을 갖고 있다.  焦點, 焦燥, 焦土化가 있다.  眉는 눈위에 털이 나있는 形狀으로 ‘눈썹’이라는 뜻이다.  아미(蛾眉-누에 눈썹같은 미인의 눈썹), 兩眉間이 있다.  따라서 焦眉라면 ‘눈썹이 타는 듯한 危急한 狀況’을 뜻한다. ‘焦眉의 關心事’라는 말이 있다.
  東漢 末期 曹操가 獻帝를 끼고 天下를 號令할 때 그의 越權 行爲에 不滿을 품고 일어난 자가 劉備와 孫權이다.  新野에서 劉備를 보기 좋게 擊破한 曹操가 그 길로 孫權을 향해 壓迫해 오자 겁이 난 孫權은 魯肅을 劉備의 陣營에 보내 聯合을 模索하게 되었다.
  그러나 孫權 麾下(휘하)의 많은 將帥들은 曹操에게 投降할 것을 主張했다.  聯合해 보았자 그를 당한다는 것은 力不足이었기 때문이었다.  後에 魯肅이 諸葛亮을 데리고 돌아오자 投降派의 代表라 할 수 있는 張昭가 諸葛亮에게 따지듯이 말했다.
  “나는 옛날부터 當身을 잘 파악하고 있었소. 지금 當身은 誇大妄想症에 빠져 마치 管 仲(齊나라 桓公 때의 명재상)이나 되는 것처럼 行動하고 있는데 當身이 이루어 놓은게 뭐있소?  劉備가 當身을 얻고 부터 連戰連敗한 나머지 지금은 눈썹이 타들어 가는{焦眉} 危急한 形局에 빠져 있다는 事實을 아시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拔苗助長 이규 2013.04.04 1763
223 光化門 이규 2012.11.03 1763
222 阿修羅場 셀라비 2012.11.11 1762
221 登龍門 lkplk@hitel.net 2014.01.22 1761
220 斷 機 셀라비 2014.02.18 1760
219 多岐亡羊 yikyoo 2014.06.09 1758
218 山陰乘興 [1] 이규 2013.05.06 1756
217 道聽塗說 셀라비 2014.06.25 1751
216 氷炭不容 이규 2013.03.24 1747
215 畵虎類狗 셀라비 2014.06.29 1745
214 茶 禮 셀라비 2014.01.09 1745
213 明 堂 셀라비 2014.04.15 1741
212 鼻 祖 셀라비 2014.03.17 1738
211 口舌數 셀라비 2014.03.14 1738
210 身言書判 이규 2013.06.12 1734
209 座右銘 셀라비 2014.04.09 1733
208 弔 問 [1] 셀라비 2014.04.16 1732
207 獨眼龍 셀라비 2014.07.05 1731
206 臥薪嘗膽 이규 2013.06.03 1731
205 小 心 셀라비 2014.02.13 1727